“바이오소재 산업과 농업의 선순환 생태계 구축해 새로운 농업 활로 모색해야”

  • 등록 2023.04.28 14:27:59
크게보기

- ‘바이오소재농업 활성화 방안’ 연구 통해 밝혀 -

지속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는 바이오산업, 바이오소재산업, 그린바이오산업과 농업의 연계성을 강화해 농업 분야도 고부가가치 창출이 가능하다는 이미지 변화가 필요한 가운데 바이오소재산업과 바이오소재농업의 선순환 생태계를 구축해 농업의 새로운 활로를 모색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이러한 내용은 한국농촌경제연구원(KREI, 원장 한두봉)이 ‘바이오소재농업 활성화 방안’ 연구를 통해 밝혔다.

연구를 진행한 김용렬 선임연구위원은 바이오소재산업의 국내외 현황 및 바이오소재농업의 국내 현황을 분석하고, 바이오산업의 성장이 바이오소재농업에 미치는 파급효과 및 관련 농업계의 요구사항 진단을 통해 바이오소재농업의 활성화 방안을 도출했다.

 

바이오소재산업은 크게 식품산업, 농산업, 의약소재산업, 향장산업으로 구분된다. 식품산업에서는 건강기능식품, 농산업에서는 바이오 농약 및 비료, 의약소재산업에서는 바이오소재 의약품, 향장산업에서는 기능성 화장품이 해당된다. 글로벌 바이오소재산업 규모는 2020년 약 7,765억 달러에서 2024년 9,903억 달러로 연평균 6.3%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며, 국내 바이오소재 산업 규모는 2020년 기준 4조 9천억 원으로 2016년부터 연평균 10.5%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국내 바이오소재농업의 경우 성장이 더딘 것으로 조사됐다. 연구진은 국내 바이오소재농업의 현황을 파악하고자 바이오소재로 이용되는 농산물인 식량작물, 채소류, 과일류, 약용작물, 곤충 등에 대한 현황을 살펴보았다. 조사 결과,  바이오소재용 농산물 생산액은 2010년 1조 9,420억 원에서 2020년 1조 7,280억 원으로 연평균 1.2% 감소했으며, 농업 생산액에서 차지하는 비율도 2010년 4.25%에서 2020년 3.45%로 감소해 바이오소재농업의 위상이 점차 낮아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진은 이에 대해 바이오소재산업이 성장하면서 생성된 부가가치가 소재의 원료를 공급하고 있는 농업 분야로 원활히 순환되고 있지 않으며, 그만큼 바이오소재농업의 기반이 허약함을 의미하는 것이라고 언급했다.

특히 바이오소재농업이 가지고 있는 구조적 한계에 대해 첫째, 바이오소재농업과 바이오소재산업 간 성장의 선순환 구조를 담보할 수 있는 비즈니스 생태계가 성숙하지 못하다는 점, 둘째, 급속하게 발전하고 있는 바이오소재산업의 성장 속도와 바이오소재농업 성장 속도 간의 커다란 괴리가 존재한다는 점, 셋째, 바이오소재용 농산물을 생산할 수 있는 농업기반이 취약하다는 점을 지적했다.

 

연구진이 바이오소재농업의 활성화를 위한 방안으로 우선 원료 소재 발굴과 가치사슬 단계별로 패키지화된 연구 강화를 제시했다. 이를 위해 우선 기존의 기능성 물질 추출 중심 연구 외에도 고품질 종자 개발, 표준화된 생산관리체계의 정립, 원천기술 확보, 공정기술개발, 제품화 기술개발 등 기반기술 확보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또한 안정적인 바이오소재 원료 생산체계 확립을 위해 산학관연 협력을 통한 거점 클러스터 형성과 안정적 원료 생산체계 확립, 스마트팜 활용을 통한 대량 생산체계 확립이 요구되며, 선순환 비즈니스 생태계를 위한 거버넌스 구축을 위해 중장기 로드맵 수립과 바이오소재농업과 기업 간의 상생협력 플랫폼 구축이 필요하고 밝혔다.

 

김용렬 선임연구위원은 “바이오소재용 농산물 생산 시 농산물 시장이 안정화되고, 탄소배출 저감으로 환경위기를 극복할 수 있으며, 인체 건강에도 도움이 된다는 사실을 객관적인 논거 제시를 통해 소비자들에게 홍보해 바이오소재용 농산물의 소비를 진작시켜야 한다” 고 주장했다.  

 

(농업환경뉴스 =  김선옥 기자)

관리자 기자 aen@agemnews.co.kr
Copyright @2020 농업환경뉴스 Corp. All rights reserved.

서울특별시 서초구 남부순환로 2311-12 (우)06714 등록번호 : 서울,아52858 | 등록일 : 2020.02.11 | 발행인 : 김선옥 | 편집인 : 윤주이 | 전화번호 : 02-588-7036 | 이메일 : aen@agemnews.co.kr Copyright ©2020 농업환경뉴스.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