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이가 들면서 근육의 양, 근력 및 근기능이 감소하는 근감소증을 개선할 수 있는 새로운 기능성 소재가 국내 연구진에 의해 발굴됐다. 한국식품연구원(원장 백현동, 이하 식품연)은 “ 낙화된 밤꽃”이 근육노화를 늦추는 새로운 항노화 소재로 활용될 수 있다는 연구결과를 밝혔다.
![[밤꽃 추출물에 함유한 엘라그산과 폴리아민류가 오토파지 활성을 증가시켜 세포노화 감소, 미토콘드리아 활성 증가 및 근육단백질 감소로 근육노화를 개선하고 건강수명을 증진]](http://www.agemnews.co.kr/data/photos/20250416/art_17448584181365_45aeaf.png)
이번 성과는 나이가 들면서 골격근 질량과 기능이 점차 감소하는 근감소증에 대한 국민의 관심이 증가하는 가운데 근육건강을 유지할 수 있는 새로운 기능성 소재의 발굴이라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다. 특히 근육건강 기능성소재로서 상용화와 경제적 노동력 유지 및 의료비용 절감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노화와 관련된 근감소증은 이동성 감소, 낙상위험 증가 등 신체적 쇠퇴로 우울증, 불안, 사회적 고립을 유발하기 때문에 노인의 삶의 질과 사망률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며, 특히 건강수명 측면에서 근육건강은 노쇠를 예방하는데 필수이다.
정창화 박사 연구팀은 6월경에 밤나무에서 떨어진 밤꽃을 채집하여 추출한 물질을 노화된 쥐에 3개월간 급여한 결과, 노화쥐의 근육량이 18% 증가했고, 근육기능 측면에서 신체활동성 60% 증가와 악력강도 25%를 증가시켰다
밤꽃은 오토파지 활성 회복을 통하여 근육건강에 기여하는 것을 밝혔다.
오토파지는 노화과정에서 손상된 미토콘드리아를 적절하게 제거함으로써, 미토콘드리아 활성 및 세포 항상성을 유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근감소증 예방을 위해 오토파지를 조절하고자 하는 시도가 최근까지 이루어지고 있으나 천연 오토파지 활성제가 근육노화에 미치는 영향은 아직 불분명하였다.
그러나, 연구팀은 동물실험을 통해 세계 최초로 밤꽃이 오토파지 활성을 통해 근육노화를 개선함을 밝혔다.
밤꽃은 다량의 엘라그산(ellagic acid)을 함유하고 있으며, 이 성분은 장내미생물에 의해 우롤리틴 A(urolitin A)라는 항노화 물질로 전환된다. 우롤리틴 A는 오토파지를 자극하고 미토콘드리아의 기능을 개선하는 물질로 알려졌는데, 3개월간 밤꽃을 섭취한 마우스의 혈액과 조직에서 우롤리틴 A함량이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이렇게 증가한 우롤리틴 A가 근육노화 개선에 효능을 발휘했을 것으로 제안했다.
식품연 정창화 박사는 “밤꽃이 건강수명을 연장하고 근육감소증을 완화하는 유망한 소재로 제안하나, 아직 식용경험이 낮아 섭취 근거마련과 인체적용시험을 통해 항노화 효능 입증이 필요하므로, 추후 사업화 과제를 통해 새로운 신규 소재로서 활용할 계획이다”고 밝혔다.
한편 이 연구결과는 노화분야 최고 국제학술지 중 하나인 ‘J. Cachexia, Sarcophenia and Muscle’에 게재되었다.
(농업환경뉴스 = 김선옥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