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이후 축산물 소비 어떻게 달라졌을까?

  • 등록 2021.12.06 16:31:44
크게보기

- 소․돼지고기 가정 조리․간편식 늘고, 닭고기 배달 증가 두드러져 -

 

 코로나19로 사회적 거리두기가 지속되면서 국내산 축산물 소비에도 큰 영향을 끼친 것으로 나타났다.

주 1회 이상 돼지고기를 먹는 소비자가 69.5%를 차지했고, 그 뒤를 닭고기 55.1%, 소고기 44.9%가 이었다.

농촌진흥청(청장 박병홍)은 지난 9월 1∼14일까지 전국에 거주하는 20대 이상 69세 이하 성인 남녀 1,500명 을 대상으로 ‘코로나19 이후 축산물 소비 환경 변화 조사’를 실시하고 이같은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 결과, 축산물 소비 방법 은 ‘가정 내 조리’가 돼지고기 60.3%, 소고기 50.4%, 닭고기 44%로 모두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이밖에 돼지고기와 소고기 소비 방법은 외식(16∼18%), 가정간편식/바로 요리 세트(12∼15%), 배달(9∼11%) 순으로 비슷한 비율을 보였다.

 

닭고기는 ‘배달’ 30.3%, ‘가정간편식/바로 요리 세트’ 13.2%, ‘외식’ 12.6%의 순으로 배달 소비 비중이 높았다.

지난해와 비교해 돼지고기의 경우 주 소비 방법이던 외식이 줄어들면서 수입 돼지고기의 소비가 20.7%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소고기 소비가 증가했다는 응답은 31.9%를 차지했다. 응답자 가운데 한우보다 수입 소고기 소비가 증가했다는 답변이 3.4%P 높았다. 가장 큰 이유로 ‘가격(74.7%)’을 꼽았다.

소고기, 돼지고기를 소비할 때 ‘가정 내 조리’와 ‘가정간편식/바로 요리 세트’ 이용이 늘었다는 응답이 많았다. ‘외식’ 비율은 소고기 49.3%, 돼지고기 38.7% 각각 감소했다고 답했다. 닭고기 소비 방법으로 ‘배달’ 이용이 늘었다는 응답은 42.3%에 달했다.

 

 코로나19로 인해 축산물 구매 장소가 바뀌었다는 응답이 18.7%였으며, 인터넷 구매가 크게 증가(49.8%)한 대신 백화점 구매는 감소(19.2%)했다.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오형규 기술지원과장은 “이번 조사 결과가 마케팅 효율화와 축산물 생산 전략 고도화를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되어 소비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길 바란다.”라고 밝혔다.

농축산물 유통 마케팅 전문가인 협성대 송정헌 교수는 “상대적으로 적었던 축산물 온라인 구매가 코로나19로 크게 늘었다.”며 “온라인 거래에 적합한 축산물 개발과 유통방법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농업환경뉴스 = 편집국 기자)

관리자 기자 aen@agemnews.co.kr
Copyright @2020 농업환경뉴스 Corp. All rights reserved.

서울특별시 서초구 남부순환로 2311-12 (우)06714 등록번호 : 서울,아52858 | 등록일 : 2020.02.11 | 발행인 : 김선옥 | 편집인 : 윤주이 | 전화번호 : 02-588-7036 | 이메일 : aen@agemnews.co.kr Copyright ©2020 농업환경뉴스.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