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산 쌀 12만 6천 톤 추가 시장격리 실시

  • 등록 2022.04.28 11:50:01
크게보기

더불어민주당과 정부는 최근 쌀값 흐름, 산지 재고 등 시장 동향을 점검하고 쌀 시장안정을 위해 시장격리 잔여 물량 12만 6천 톤을 추가 시장 격리하기로 합의했다.

당정은 지난 27일‘2021년산 쌀 추가 시장격리’ 관련 협의를 개최하고 이같은 쌀 시장안정을 위한 추가 시장격리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이번 조치는 2021년산 쌀 시장안정을 위해 지난해 12월28일 초과생산량 27만 톤 중 20만 톤을 우선 시장격리하고 잔여 물량 7만 톤은 추후 시장 상황, 민간재고 등 여건에 따라 추가 격리하기로 한 데 따른 것이다. 이는 2021년산 쌀 생산량은 3백88만 톤(11.15일 통계청 발표)으로, 2021년산 쌀 추정 수요량 3백61만 톤 고려 시 초과 생산량은 27만 톤 수준이다.

산지 쌀값은 1차 시장격리 실시 이후에도 산지 재고 과다, 쌀 소비 감소 등 영향으로 하락세가 지속되었고 최근 하락 폭이 확대되고 있다.
이에 따라 당정은 쌀 시장안정을 위해 2021년산 쌀 추가 시장격리가 필요하다는 점에 의견을 같이하고, 정부는 2021년산 쌀 초과생산량 27만 톤 중 1차 시장격리 매입 물량인 14만 4천 톤을 제외한 잔여 물량 12만 6천 톤을 빠른 시일 내에 시장격리키로 했다.

또한 농림축산식품부(장관 김현수)는 5월 중 잔여 물량에 대해 1차 시장격리와 동일한 방식으로 세부 매입계획을 마련‧공고한다. 아울러 농림축산식품부는 2022년산 쌀 적정 생산을 위해 지방자치단체와 협업하여 벼 재배면적 감축 방안을 마련하여 추진하고 있으며 지방자치단체별 감축 실적에 따라 공공비축미 추가 배정 등 혜택을 제공할 계획이다.

 

더불어민주당과 정부는 최근 쌀값 흐름, 산지 재고 등 시장 동향을 점검하고 쌀 시장안정을 위해 시장격리 잔여 물량 12만 6천 톤을 추가 시장 격리하기로 합의했다.

 

당정은 지난 27일‘2021년산 쌀 추가 시장격리’ 관련 협의를 개최하고 이같은 쌀 시장안정을 위한 추가 시장격리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이번 조치는 2021년산 쌀 시장안정을 위해 지난해 12월28일 초과생산량 27만 톤 중 20만 톤을 우선 시장격리하고 잔여 물량 7만 톤은 추후 시장 상황, 민간재고 등 여건에 따라 추가 격리하기로 한 데 따른 것이다. 이는 2021년산 쌀 생산량은 3백88만 톤(11.15일 통계청 발표)으로, 2021년산 쌀 추정 수요량 3백61만 톤 고려 시 초과 생산량은 27만 톤 수준이다.

 

산지 쌀값은 1차 시장격리 실시 이후에도 산지 재고 과다, 쌀 소비 감소 등 영향으로 하락세가 지속되었고 최근 하락 폭이 확대되고 있다.

이에 따라 당정은 쌀 시장안정을 위해 2021년산 쌀 추가 시장격리가 필요하다는 점에 의견을 같이하고, 정부는 2021년산 쌀 초과생산량 27만 톤 중 1차 시장격리 매입 물량인 14만 4천 톤을 제외한 잔여 물량 12만 6천 톤을 빠른 시일 내에 시장격리키로 했다.

 

또한 농림축산식품부(장관 김현수)는 5월 중 잔여 물량에 대해 1차 시장격리와 동일한 방식으로 세부 매입계획을 마련‧공고한다. 아울러 농림축산식품부는 2022년산 쌀 적정 생산을 위해 지방자치단체와 협업하여 벼 재배면적 감축 방안을 마련하여 추진하고 있으며 지방자치단체별 감축 실적에 따라 공공비축미 추가 배정 등 혜택을 제공할 계획이다.

 

(농업환경뉴스 = 윤준희 기자)

윤준희 기자 younjy6080@gmail.com
Copyright @2020 농업환경뉴스 Corp. All rights reserved.

서울특별시 서초구 남부순환로 2311-12 (우)06714 등록번호 : 서울,아52858 | 등록일 : 2020.02.11 | 발행인 : 김선옥 | 편집인 : 윤주이 | 전화번호 : 02-588-7036 | 이메일 : aen@agemnews.co.kr Copyright ©2020 농업환경뉴스.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