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착 천적 보호 노력으로 ‘친환경 농업 확대’ 기반 쌓는다

  • 등록 2025.08.13 17:26:43
크게보기

- 노지 콩 재배지 나방류 해충, 토착 천적 이용해 친환경적으로 제어 가능
- 농촌진흥청, 우수 토착 천적 2종의 지역별‧시기별 분포 정보 제공
- 저독성 약제 사용으로 토착 천적 활용할 수 있는 재배 환경 조성

 농촌진흥청은 노지 콩 재배지 나방류 해충을 친환경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우수 토착 천적 2종 (긴등기생파리, 예쁜가는배고치벌)의 국내 지역별‧시기별 분포 상황을 확인했다.

<긴등기생파리가 담배거세미나방 유충에 산란하는 모습> < 담배거세미나방 유충 몸에 산란한 알 >

 

<예쁜가는배고치벌이 담배거세미나방 유충에 산란하는 모습>       < 예쁜가는배고치벌 고치 >

이들 토착 천적은 파밤나방과 담배거세미나방 등 나방류 해충의 유충에 알을 낳는데, 이 과정에서 나방류 해충의 유충이 죽어 방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연구진이 지난해 8개도 16개 시군 콩 재배지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강원도를 제외한 7개 도 14개 시군에서 토착 천적 2종이 파밤나방, 담배거세미나방 유충에 자연 기생하는 확률이 최대 60%에 이르는 것으로 확인했다.

 

이와 함께 국내 노지 콩 재배지에서 토착 천적을 활용할 수 있도록 살충제 16종이 토착 천적 2종에 미치는 독성 정도 ( 국제생물적방제기구(IOBC)는 사충률 기준 저독성(25% 미만), 고독성(75% 이상)으로 분류함.)도 평가했다.

 

그 결과, 아크리네스린을 제외한 15종의 살충제가 긴등기생파리에 저독성인 것으로 나타났다. 예쁜가는배고치벌에는 8종이 저독성, 아크리네스린, 디노테푸란은 고독성으로 확인됐다. 이로써 토착 천적을 보호하려면 고독성 약제 사용에 주의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노지 콩 재배지에서는 6월 중순부터 10월까지 파밤나방과 담배거세미나방 등 나방류 해충이 연 4~5회 이상 발생해 피해를 주고 있다.  최근에는 기후변화 영향으로 5월부터 11월까지 발생해 활동 기간이 점차 길어지고 있다.

 

이들 나방류 해충은 콩잎을 갉아 먹고 콩 재배지 주변 고추 재배지나 온실 내로 침입해 피해를 주고 있다. 특히 3령 ( 곤충류에서 유충의 발육단계를 구분할 때 사용하는 용어로, 부화 후 1차 탈피까지의 기간을 1령, 탈피 후 2차 탈피까지의 기간을 2령 등으로 부름) 이상의 유충은 약제 내성과 저항성이 강해 방제가 쉽지 않다.

 

농촌진흥청 해충잡초방제과 박희수 과장은 “ 국내 노지 콩 재배지에 있는 토착 천적 정보를 제공하고 천적에 저독성인 약제를 사용하도록 제안해 토착 천적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재배 환경 조성에 노력하겠다. ” 며, “ 이번 정부의 친환경 농업 확대 정책에 맞춰 노지 맞춤형 천적 이용 친환경 농업기술을 체계화해 나갈 계획이다.”고 말했다.

 

(농업환경뉴스 = 윤준희 기자)

윤준희 기자 younjy6080@gmail.com
Copyright @2020 농업환경뉴스 Corp. All rights reserved.

서울특별시 서초구 남부순환로 2311-12 (우)06714 등록번호 : 서울,아52858 | 등록일 : 2020.02.11 | 발행인 : 김선옥 | 편집인 : 윤주이 | 전화번호 : 02-588-7036 | 이메일 : aen@agemnews.co.kr Copyright ©2020 농업환경뉴스.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