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농업 농촌의 기후대응에 대한 지자체, 농업인 등 현장의 이해를 높이고 소통 ‧ 홍보를 위해 권역별 설명회와 기후산업국제박람회와 연계하여 포럼과 전시 행사가 추진된다.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지자체와 농업인들은 막연히 기후위기에 대해 두려워하고, 어떤 대책을 어떻게 해야하는지 답을 찾기 어려웠다.
이에 따라 농식품부는 농업 농촌분야 기후위기 대응과 탄소중립 관련해 농업‧농촌 기후위기 대응 현장 역량강화 설명회를 마련하게 됐다고 밝혔다. 이번 설명회는 8월 26일 경북(경산), 경남(창원) 지역을 시작으로 전북‧전남, 경기‧강원, 충북‧충남 등 권역별로 10월말까지 개최할 계획이다.

설명회 주요 내용은 △ 농업‧농촌 분야 탄소중립 정책방향(농식품부) △ 농업분야 기후적응 기술개발 현황 (농촌진흥청) △ 농업‧농촌분야 국내‧외 기후위기 대응 동향(한국농공학회) △ 이상기상 대응을 위한 농업정보 서비스(한국농림기상학회) △ 농업‧농촌 기후변화 영향․취약성 평가(한국농어촌공사) 등이다.
기후위기가 가속화되고 극한 기후로 인한 농업분야 피해가 심화되는 상황에서 중앙정부와 지자체의 유기적인 협력과 대응방안 마련이 어느 때보다 중요한 시기이다.
농식품부는 「농업 ‧ 농촌 및 식품산업 기본법」에 따라 매년 ‘기후변화 실태조사’를 실시하고 있다. 이 결과를 토대로 농업 ‧ 농촌에 미치는 영향과 취약성을 5년마다 평가한다. 이를 통해 나타난 지역별 농작물의 재배적지 변화 등 자료를 활용해 지자체가 기후위기 대응방안을 수립할 수 있다.
특히 이번 설명회에는 그간 진행된 기후변화 실태조사와 영향‧취약성 평가 결과를 공유하여 지자체 업무 관계자의 이해도 증진을 높이고 현장 의견 청취를 통해 정책 개선도 모색할 계획이다.
한편 농식품부는 8월 27일부터 29일까지 부산광역시 벡스코에서 개최되는 ‘2025 기후산업국제박람회’에 참여하여 ‘똑똑한 농업, 건강한 지구’를 주제로 ‘청정전력관’ 전시 공간을 마련한다. 전시회에서는△저탄소 농업기술 △ 농촌재생에너지 정책 등 농업‧농촌 분야의 다양한 저탄소 농업기술, 기후대응 정책이 소개될 예정이다.
박람회 부대행사로 ‘농업‧농촌 기후위기 대응 포럼’을 개최한다. 정부, 산업계, 학계 등 기후변화 전문가로 구성된 ‘농업 ‧ 농촌 기후위기 대응 역량강화 협의체’의 자문위원들과 지자체, 학계 등 전문가들이 기후관련 정책방향 및 개선안을 모색할 계획이다.
주제발표의 주요 내용은 ❍ 발제 1 : 저탄소농업 정책의 현황과 발전 방향(경상대 김태영 교수) ❍ 발제 2 : 농업부문 기후변화 영향 및 대응(서울대 김광수 교수) ❍ 발제 3 : 이상기상 조기경보 시스템 운영사례(의성군 농업기술센터 김인규 지도사) 등이다.
농식품부 박정훈 동물복지환경정책관은 “농업은 대표적인 기후민감산업이므로 현실화된 기후위기 문제에 보다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하다"며, " 효과적인 기후변화 대응정책을 추진하기 위해 지자체, 전문가, 농업현장과 지속적인 소통을 이어가겠다.”고 밝혔다.
(농업환경뉴스 = 윤준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