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진흥청(청장 조재호)은 유지작물의 안정적인 생산을 위해 주요 병해충 특성 및 관리 방법을 소개했다.
< 시들음병 > < 잘록병 > < 역병 > < 왕담배나방>
(참깨) 7월은 꽃이 피기 시작하며 꼬투리가 달리는 생육 중기이다. 기온이 높아 진딧물과 나방 등의 해충이 많아지며, 장마철에는 역병, 시들음병 등 병이 많이 발생한다. 비가 오기 전이나 후에 등록된 약제를 미리 처리해 병해충 피해를 예방해야 한다.
잘록병= 줄기 밑부분부터 감염돼 점차 회갈색으로 변하며 나중에는 까맣게 변해 죽는다. 파종 후 온도가 낮고 습한 기후일 때 잘 발생한다. 발생 초기에 등록된 약제를 충분히 살포한다.
역병= 처음에는 땅에 가까운 줄기가 갈색으로 변하다가 지상부가 누렇게 말라간다. 주로 고온 다습한 환경 또는 물 빠짐이 나쁜 토양에서 많이 발생한다. 장마 직전 또는 병 초기 증상이 나타나면 등록된 약제를 처리한다.
시들음병= 새순과 잎끝부터 시들기 시작해 줄기 속이 적갈색으로 변하거나 줄기 반쪽이 썩는다. 주로 건조한 모래땅에서 병이 급격하게 진행된다. 평소 물길 정비 등 물관리가 중요하다. 병이 발생하기 전이나 발병 초기에 등록된 약제를 살포하고 병든 식물체는 제거한다.
진딧물과 나방류= 복숭아혹진딧물, 목화진딧물 등의 진딧물이 잎과 줄기에서 즙액을 빨아 먹어 피해를 준다. 건조한 날씨가 지속되면 발생이 심해진다. 왕담배나방 애벌레는 참깨의 줄기나 꼬투리를 갉아 먹어 피해를 준다. 발생이 확인되면 초기에 등록 약제를 처리한다.
(들깨) 7월은 들깨의 생육 초기에 해당한다. 높은 기온으로 진딧물과 나방 해충 발생이 많아지며, 습도가 높고 일조가 부족한 장마철에 녹병, 역병 등의 병 발생이 잦아진다. 발생 초기에 약제 방제를 한다.
녹병= 습도가 높고 햇빛이 부족할 때 잘 발생한다. 잎 뒷면에 황색 반점의 포자 가루가 생기며 다른 식물체로 전염된다. 병이 심해지면 잎이 일찍 떨어진다. 곁가지를 제거해 햇빛과 통풍이 잘되도록 하고 웃자람을 막는다. 병이 발생하면 등록된 약제를 초기에 처리한다.
시들음병·역병·노균병= 참깨처럼 식물체가 시들고 말라 죽는 시들음병과 역병이 발생할 수 있다. 노균병은 잎 뒷면에 데친 듯한 증상을 남기는데 낮과 밤의 온도 차이가 심할 때 잘 발생한다. 병 발생 전이나 발생 초기에 등록된 약제를 뿌리고 병든 식물체는 제거한다. 시들음병은 현재 등록된 약제가 없다. 적절한 물주기 등 철저한 재배지 관리로 병 발생 예방에 힘써야 한다.
진딧물과 나방류= 잎말이명나방 애벌레, 복숭아진딧물, 목화진딧물, 파밤나방 애벌레 등이 발생해 어린 순이나 잎을 가해하며 피해를 준다. 등록된 약제를 초기에 살포하고, 발생이 많은 시기에는 작용기작이 다른 약제를 7~10일 간격으로 교차 살포한다.
(땅콩) 7월은 땅콩꽃이 피고 꼬투리가 달리는 시기이다. 기온이 높아 해충 발생이 많아지며, 비가 잦은 장마기에는 흰비단병, 갈색무늬병 등이 발생하기 시작한다. 병해충 발생 직전이나 초기에 등록된 약제를 처리한다.
바이러스병= 잎에 생기는 병 증상에 따라 모자이크병, 누른모자이크병, 원형반점병 등으로 나뉜다. 병을 옮기는 진딧물을 방제해 병 확산을 막는다.
흰비단병= 비가 많이 내린 후 무더워지면 흙과 맞닿는 줄기 아랫부분에서 흰 곰팡이가 자라고 식물체가 시든다. 과습을 막기 위해 물길을 정비하고 지난해 병이 발생한 토양에서는 파종 전 또는 아주심기 직후에 등록된 약제를 처리하면 피해를 줄일 수 있다.
갈색무늬병·검은무늬병= 갈색무늬병은 짙은 갈색 무늬에 엷은 노란색 테두리가 나타난다. 검은무늬병은 갈색이나 흑갈색의 무늬가 나타나지만, 노란색 테두리는 없다. 병 발생 초기에 등록된 약제를 뿌려서 방제한다.
해충= 총채벌레와 진딧물이 식물의 즙액을 빨아 먹어 피해를 준다. 진딧물은 바이러스병을 옮기므로 초기에 등록된 약제로 방제해야 한다. 굼벵이류는 땅속에서 피해를 줘 확인이 어려우므로 등록된 약제를 토양에 미리 처리해 방제한다.
약제 방제를 할 때는 농약허용기준강화제도(PLS, Positive List System)에 등록된 약제를 안전사용기준에 따라 사용한다. 등록 살균제, 살충제 관련 정보는 농촌진흥청 ‘농약안전정보시스템(https://psis.rda.g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농촌진흥청 생산기술개발과 고지연 과장은 “안정적인 유지작물 생산을 위해서는 철저한 재배관리가 필수다. 시기적절한 병해충 관리로 높은 수확량과 품질을 확보하는 데 힘써야 한다.”고 말했다.
(농업환경뉴스 = 김선옥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