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의 공공배달앱 한 눈에 확인하세요 !

  • 등록 2025.04.07 11:22:15
크게보기

- 공공배달앱 활성화를 위해 ‘더(the)외식’ 누리집 내에 공공배달 통합 포털 구축

- 지자체별로 운영되는 공공배달앱을 한 곳에 모아 인지도 제고 노력

  지자체에서 운영 중인 공공배달앱을 한 곳에서 볼 수 있도록 공공배달 통합포털이 구축됐다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통합포털 qr.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357pixel, 세로 357pixel

 7일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공공배달 통합포털은 검색창에 ‘식품산업통계정보’ 또는 ‘fis’를 검색해서 나오는 ‘더(the)외식’ 누리집을 통해 접속할 수 있다.  https://www.atfis.or.kr/delivery/ 

 

 공공배달 통합포털에서는 ▲전국에 흩어져있는 공공배달앱을 한 곳에서 다운받을 수 있고, ▲앱이 설치된 경우 바로 실행되며, ▲모바일과 PC 모두에서 구현되는 반응형 웹으로 구축되었다 (회원가입 불요).

 

 또한, 지역별 공공배달앱에서 제공하는 각종 혜택을 확인‧비교할 수 있고, 한 달간의 시범운영 기간을 거쳐 정식 운영될 계획이다.

 

 농식품부는 통합포털 출범을 계기로 공공배달앱에서 음식을 주문하고 인증하는 5만 명에 대하여 4월 7일부터 선착순으로 할인쿠폰 (3천원)을 지급하는 행사를 진행한다.

 

 또한, 공공배달앱의 장점 소개와 인지도 제고를 위해 숏폼(Short-form) 공모전도 한 달간 (‘25.4.7~5.7) 개최한다. 

수상자에게는 농식품부 장관상과 최대 200만원의 상금을 수여할 계획이다. 자세한 사항은 공공배달 통합포털에서 확인할 수 있다.

 

아울러, 텔레비전(TV), 아파트 엘리베이터, 블로그 등 일반인이 쉽게 접할 수 있는 매체들을 중심으로 동영상을 송출하여 공공배달앱 이용을 유도할 계획이다.

 

 현재 12개 시도, 35개 시군구에서 12개사가 각각 공공배달앱을 운영하고 있으나, 소비자 인지도가 높지 않아 음식점주의 입점과 소비자 이용율이 낮은 문제가 있으며, 외식업계에서도 배달앱 수수료 부담완화를 위해 공공배달앱 활성화를 지속적으로 요청해왔다.

 

<공공배달앱 주요 혜택>

 

 

 

 

지자체

배달앱

주요 혜택

대구시

대구로

‧ 절약한 수수료를 고객할인으로 돌려주는 착한매장 제도로 2천원(음식점주 1천원, 대구로 1천원) 할인

‧ 아동급식카드 결제시 무료배달

서울시

땡겨요

‧땡겨요 전용 상품권을 발행해 15% 할인

충북

땡겨요

먹깨비

‧땡겨요, 먹깨비 입점 매장 건당 1천원 배달료 지원(30만원)

제주

먹깨비

‧1일 1회 3천원 한도 소비자 배달료 지원(예산소진시 까지)

※ 땡겨요는 한국은행의 디지털화폐 실거래 테스트(‘25.4.1~’25.6.30)에 참여하고 있으며, 예금 토큰으로 배달 주문 결제 시 ▲매 주문 건당 땡겨요 2,000p ▲누적 3회 이상 주문 시 3,000원 할인쿠폰을 추가 제공

 

농식품부 주원철 식품산업정책관은 “ 공공배달앱은 민간배달앱 (중개수수료 2%~7.8%)에 비해 중개 수수료가 훨씬 저렴하고(0~2%), 광고 수수료도 없어 소상공인의 경영안정에 도움이 크다”며, “음식가격도 할인받고 외식업체에도 도움이 되는 공공배달앱을 많이 이용해 달라”고 말했다.

 

                                                     <공공배달 통합포털 휴대폰 화면 >

 

 

                                                     <   공공배달 통합포털 PC 화면 >

 

(농업환경뉴스 = 윤준희 기자)

윤준희 기자 younjy6080@gmail.com
Copyright @2020 농업환경뉴스 Corp. All rights reserved.

서울특별시 서초구 남부순환로 2311-12 (우)06714 등록번호 : 서울,아52858 | 등록일 : 2020.02.11 | 발행인 : 김선옥 | 편집인 : 윤주이 | 전화번호 : 02-588-7036 | 이메일 : aen@agemnews.co.kr Copyright ©2020 농업환경뉴스.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