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26 (금)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생태/환경

2023년 ‘세계 토양의 날’ 유감, 따로 노는 농림축산식품부와 환경부

– 세계 흙의 날,’ ‘대한민국 토양의 날’이 되게 해야 -
- ‘12월 5일 세계 흙의 날’ 하나로 통합... ‘한국토양협의체(Korea SoilS Partnership, KSP) 설립 추진해야-

                              

                                                < 최양부 흙살림 고문, 전 청와대  농림해양수석비서관>

 

‘건강한 토양, 미래를 싹 틔우다 (Healthy Soil, Sprout of the Future)’를 주제로 한 ‘2023년 세계 토양의 날’ 기념행사가 환경부 주최로 12월 5일에 열린다는 신문광고를 보고 ‘이 행사는 또 뭐지?’ 하는 의문이 나 행사 당일 기념식 현장을 찾았다.  ‘세계 토양의 날’은 2012년 6월 태국 정부가 제144차 유엔 식량농업기구(FAO) 이사회에 ‘세계 토양의 날’과 ‘세계 토양의 해’ 지정을 요청하자 2013년 6월 제38차 FAO 총회가 수용하고, 그해 11월 제68차 UN 총회에서 2015년을 ‘세계 토양의 해 (The Internayional Year of Soils, IYS)’로, 매년 12월 5일을 ‘세계 토양의 날 (World Soil Day, WSD)’로 결정하면서 시작되었다. 

 

그리고 FAO는 2014년 12월 5일 처음으로 ‘세계 토양의 날’을 기념하고, 2015년에는 ‘건강한 삶을 위한 건강한 토양(Healthy soils for healthy life)’을 주제로 전 세계적으로 ‘세계 토양의 해’를 기념했다.  이후 2017년부터는 ‘세계토양협의체(Global Soil Partnership, GSP)’가 주축이 되어 매년 흙의 가치를 알리고 보전하기 위한 실천 과제를 정해 세계적 캠패인을 벌려오고 있다.

 

                                        <2023년 세계 토양의 날 기념 포스터,  환경부>

 FAO/WSD가 정한 2023년 주제는 우리 환경부와는 달리 ‘흙과 물, 생명의 근원(Soil and Water: a Source of Life)’으로 정하고 흙과 물은 인류를 포함한 지구상의 모든 생명체의 생명 유지를 위한 2대 필수 요소임을 알리고 이들의 건강한 상호 작용 유지를 위한 과제들의 실천을 알리는 캠페인을 벌려왔다.   우리 환경부의 이런 주제변경은 이번만이 아니었다.

 

2022년에는 ‘흙은 먹을거리의 시작(Soil, where food begins)’이란 주제를 환경부는 ‘생명이 시작되는 토양, 모두의 지구’라고 바꾸었고, 2021년에는 ‘토양 염류화 막아 토양 생산성 높이자 (Halt soil salinization, boost soil productivity)’을 ‘토양, 보전을 약속하다’로, 2020년에는 ‘ 흙을 살려 생물다양성을 지키자 (Keep soil alive, protect soil biodiversity)’를 ‘생물다양성의 보고, 살아있는 토양’으로, 2019년에는 ‘토양침식 막아 우리 미래 구하자(Stop soil erosion, Save our future) 대신 ‘생명을 품은 토양, 건강한 우리 미래’로,

 

2018년에는 ‘토양오염 해법을 찾자 (Be the Solution to Soil Pollution)’을 ‘건강한 토양, 숨 쉬는 지구, 토양의 가치를 소중하게’로, 2017년에는 ‘흙 돌봄은 땅에서부터 Caring for the soil starts from the ground)’를 ‘토양이 살아야 지구가 산다’로, 2016년에는 ‘토양과 콩, 생명을 위한 공생 (Soils &Pulses: Symbiosis for life)’를 ‘미래가 토양을 만났을 때’로 바꾸는 등 흙과 뗄레야 뗄 수 없는 먹을거리 생산을 위한 농림축산 활동과 관련한 캠패인 주제를 도외시하는 등 따로 놀고 있었다.

 

흙의 95%가 농림축산 활동에 사용되고 있는 현실을 도외시하고 토양의 날 행사를 하니 참으로 스스로 5%를 대상으로 기념행사를 해온 것이다. 참으로 부처 이기주의에 갖힌 속 좁은 처사가 아닐 수 없다. 만일 그것이 아니라면 우리만 따로 정하는 이유가 무엇인지 궁금하다. 그래서 일까  환경부가 2015년부터 ‘세계 토양의 날’을 기념하기 시작하자, 2016년부터 농림축산식품부는 따로 ‘대한민국 흙의 날’을 기념하기 시작했다.

 

2015년 3월 27일 김춘진 의원(당시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소속) 대표 발의로 ‘친환경 농어업 육성과 유기식품 등의 관리 지원에 관한 법률’을 개정 3월 11일을 법정기념일 ‘흙의 날’을 따로 정했기 때문이다. 김 의원은 3월 11일을 택한 것은 “‘3’은 농사 시작을 알리는 달과 ‘하늘(天)+땅(地)+사람(人)’이란 복합적 의미를, ‘11’은 한자 10(十)과 1(一)을 합한 ‘흙(土)’을 뜻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그리고는 FAO의 주제와는 무관한 기념행사를 해왔다. 2016년부터 우리 정부는 매년 봄, 겨울 두 차례씩 우리 식 기념행사를 해오고 있다. 금 년에는 지난 3월 10일 8번째로 농식품부 주최로, 그리고 12월 5일 환경부 주최로 9번째 기념행사를 했다.

 

영어의 ‘Soil’은 ‘지구 표면의 상층부로 농작물이 자랄 수 있게 파거나 갈아 일구어 사용하는 부분(the upper layer of earth that may be duged or plowed and in which plants grow)’을 말한다. 우리말 사전은 ‘농작물 등에 영양을 공급하여 자리게 할 수 있는 것으로 지구 표면을 덟고 있는 바위가 부스러져 생긴 무기질의 가루와 썩은 동식물에서 생긴 유기질의 물질이 섞여 이루어진 것’이라고 흙/토양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Soil은 한마디로 순수 우리 말로 ‘흙’이고, ‘토양(土壤)’과 같은 뜻을 가진 모두 같은 말이다.

 

그런데도 우리 정부가 환경부 따로, 농식품부 따로 국민 세금으로 자기편 사람들 불러모아 따로따로 기념행사를 8, 9년째 해오고 있눈 사실은 문제가 아닐 수 없다. 같은 의미의 흙의 날, 토양의 날에 ‘세계’와 ‘대한민국’을 붙이면 그 의미가 달라지는가? 갈수록 토양오염과 토양침식, 염류화, 토양미생물 소멸 등으로 흙이 죽어가고, 없어지고 있는 ‘흙의 위기’가 발등의 불이 되었는데도 이런 절박한 현실은 외면하고 코메디 같은 형식적 기념행사로 해온 역대 정부와 공무원들의 부처 이기주의적 행태에 분노마저 느낀다. 도대체 정부 부처의 따로따로 기념행사는 무엇을 위한 기념이고, 누구를 위한 행사인지 묻지 않을 수 없다.

 

이제는 우리도 세계와 호흡을 같이 하면서 국민에게, 농림축산인에게 흙의 위기 상황을 바로 알리고 건강한 흙을 되살리기 위한 국민의 각성과 동참을 끌어내기 위한 절박함이 묻어나는 ‘세계 흙의 날,’ ‘대한민국 토양의 날’이 되게 해야 한다. 정부는 하루빨리 두 개의 형식적인 기념행사부터 ‘12월 5일 세계 흙의 날’ 하나로 통합하고, 우리도 전문가와 관련 단체들로 ‘세계토양협의체(Global Soil Partnership, GSP)’에 준하는 ‘한국토양협의체(Korea SoilS Partnership, KSP)를 설립하고, 이를 중심으로 ‘세계토양헌장(World Soil Charter)’의 정신과 행동준칙, 행동계획 등에 따라 ‘흙 살리기 운동’에 나서야 한다.

 

세계는 지금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탄소중립시대를 맞아 흙의 소중함을 일깨우며 죽어가는 흙을 건강한 흙으로 되살리고, 파괴되고 사라지고 있는 흙 생태계 복원을 위해 치열하게 싸우고 있다. ‘인간은 흙에서 나서 흙으로 돌아간다’는 말처럼 인간을 칭하는 Homo/Humano가 ‘흙/땅’을 의미하는 그리스어 Homόs, 라틴어 Humus, Humánus에서 유래했다고 하니 FAO가 왜 ‘흙은 농업의 어머니, 생명의 어머니‘ 라고 부르는지 이해가 간다.

 

흙의 염류화가 심해 더 이상 작물을 더 재배할 수 없게 되어 흙도 없고 햇빛도 사라진 식물공장에서 자란 상추, 토마토, 딸기가 대세가 된 우리 농업의 현실을 생각하면 이 시대의 건강한 먹을거리의 조건이 무엇인지 묻지 않을 수 없다. 흙이 죽고 사라지면 건강한 먹을거리도, 생명도 끝이다. 건강한 흙은 건강한 먹을거리와 건강한 삶의 영원한 근원이다.

 

(농업환경뉴스 )


정책

더보기
여성농어업인의 권리보장과 성평등한 농어촌 실현의 새로운 출발!
대통령직속 농어업·농어촌특별위원회 (위원장 김호)는 9월 23일(화) 오후 3시, 위원회 대회의실에서 여성농어업인특별위원회(이하 '여성특위') 제1차 전체회의 및 위촉식을 개최했다. 여성특위는 지방소멸 대응과 농어업의 미래세대 구성을 위한 여성농어업인의 역할증대 등 농정의 패러다임 전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는 상황에서 농어촌 지역 내 성평등의 중요성과 개별농민 단위의 정책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는 등 이와 관련한 거버넌스 구축 필요성이 제기됨에 따라 위원회 내에 여성특위가 신설됐다. 새롭게 구성된 여성특위는 전국여성농민회총연합 정영이 회장을 위원장으로 하여, 한국여성농업인중앙연합회 김향숙 회장, 한국생활개선중앙연합회 이진희 회장, 농가주부모임전국연합회 박민숙 회장, 한국여성어업인연합회 김향숙 회장, 청년여성농업인협동조합 박혜진 회장, 전국여성농업인센터협의회 강영주 회장, 전국귀농운동본 부 김수현 여성귀농정책위원장,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이순미 부연구위원, 한국여성정책연구원 김이선 연구위원, 젠더&공동체 오미란 대표, 전남대학교 농업경제학과 강혜정 교수, 농림축산식품부 농촌여성정책팀 최수아 과장, 해양수산부 소득복지과 정준호 과장, 농협중앙회 지역사회공헌부

생태/환경

더보기
“ '25 농산어촌디자인 공모전” 10개 우수작품 전시
대통령직속 농어업 ・ 농어촌특별위원회 (위원장 김호)는 지방소멸 위기와 농산어촌 지역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 「2025 농산어촌디자인 공모전」에서 선정된 우수작 10개 작품을 aT센터 제2전시장에서 9월 25일부터 28일까지 전시한다. 본 공모전은 농산어촌다움과 지역특성을 살린 디자인 사례를 발굴 · 확산하기 위해 진행되었으며, 전국 지자체와 관련 기관 담당자, 지역주민 등이 각 지역의 우수한 디자인을 알리기 위해 참여했다. 조경・건축・도시계획 등의 분야로 구성된 평가위원회는 지속가능성, 지역성, 심미성 등의 기준으로 심사를 거쳐 다음의 마을을 선정했다. ▲전북 진안군 「마령활력센터」는 전세대가 함께 어울리는 문화와 교류의 중심지로 우수성을 인정받았으며, ▲강원 인제군 「하추리산촌마을」은 산과 계곡 등 자연경관을 해치지 않고 주민공동체와 방문객이 함께하는 공간을 집적화한 디자인으로 높은 점수를 받았다. ▲전남 강진군 「달빛한옥마을」은 전통과 자연이 어우러진 공동체 마을이며, ▲충북 제천군 「산수유 농촌마을」은 마을 자원을 관광과 비즈니스로 확장하면서도 농촌다움을 지키는 마을이다. ▲전북 군산시 「추억뜨락」은 근대건축물과 상업시설을 연계하며 지역경제를 활성화

건강/먹거리

더보기
농협경제지주, 프랑스 파리서 「해외 한식당 농협쌀 인증제」1호점 현판식 개최
농협(회장 강호동) 경제지주(농업경제대표이사 박서홍)는 지난 22일(현지시간) 프랑스 파리 한식당‘순 그릴 샹젤리제’ ( 정통 한식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고급 한식당 (10 Rue Du Commandant Riviere, 75008 Paris, 프랑스) 에서 「해외 한식당 농협쌀 인증제」1호점 현판식을 개최했다. 이날 행사에는 장지윤 식품지원부장, 김범진 담양농협 조합장, 김동진 담양군청 국장, 이상효 에이스푸드 대표 등이 참석해 인증 현판을 수여하고 현지 소비자 대상으로 농협쌀을 홍보했다. "해외 한식당 농협쌀 인증제" 는 농협이 관리 · 검증한 고품질 쌀을 공급받는 한식당에 공식 인증 현판을 수여하는 제도로, 현지 소비자에게 한국산 농협쌀에 대한 신뢰를 높이고 안정적인 수출 기반을 마련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또한, 이번 인증제는 한식당을 통한 도매유통 성장 가능성을 보여준다. 실제로 프랑스 내 농협쌀 도매 판매량은 연간 154톤으로, 소매 판매량(42톤) 대비 3배 이상 많다. 농협경제지주는 이번 파리 1호점을 시작으로 유럽 주요 도시 한식당까지 인증제를 점차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이날 현판식 이후 농협경제지주·담양군농협쌀조공법인·담양군·에이스푸드는

기술/산업

더보기
농촌진흥청, ‘케이(K)-농업과학기술 협의체’ 출범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9월 25일 오전 본청 국제회의장에서 ‘케이(K)-농업과학기술 협의체’ 출범식을 개최했다. 이날 출범식에는 농업인 단체, 소비자단체, 학계, 언론, 관련 민간 전문가 등이 참석해 케이(K)-농업과학기술 협의체 구성·운영에 대해 설명을 듣고, 국정과제 추진 방향을 공유했다. 공동 의장은 이승돈 청장과 노만호 한국종합농업단체협의회 상임대표가 맡았다. 노 상임대표는 2024년 2월 (사)한국농촌지도자중앙연합회 24대 회장으로 선출된 뒤 농업인 권익과 조직 강화를 위해 활동하고 있다. 케이(K)-농업과학기술 협의체는 새 정부 국정과제 추진 동력을 확보하고 농촌진흥청 연구개발 기술의 현장 확산을 강화하고자 구성됐다. 현장 농업인, 학계 · 전문가, 소비자 등 총 50여 명 위원이 지식과 경험을 공유하며 농업 현장의 수요를 반영한 실용적 기술 개발과 정책을 제안한다. 협의체는 △미래 농업육성 △현장 문제 해결 △활력있는 농촌 3개 분과로 운영된다. 미래 농업육성 분과에서는 인공지능·농업로봇, 스마트농업, 그린바이오 · 품종, 첨단 식품 기술(푸드테크), 수출 관련 의제를 다룬다. 현장 문제 해결 분과에서는 기후변화 대응 · 탄소중립, 병해충

포토뉴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