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기준 6백 56조원의 현 식품산업 규모가 국제적 위상이 높아지고 있는 ‘ 케이-푸드 (K-Food) ’ 산업의 세계적 경쟁력을 강화하여 오는 ‘27년 1,100조원으로 성장시키기 위한 청사진이 제시됐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이같은 내용의 ‘제4차(2023~2027) 식품산업 진흥 기본계획’을 발표하고, 사회가치경영 (ESG) 등 변화된 경영환경에 대응하여 식품기업을 위한 ‘사회가치경영(ESG) 가이드라인’ 마련, 컨설팅 지원 등 식품기업의 경쟁력 강화를 지원한다고 밝혔다.
식품산업진흥법(‘08.3월 제정)」 제4조에 따라 식품산업 진흥과 경쟁력 강화를 위해 5년 단위로 기본계획을 수립해야 하는 가운데 마련한 이번 4차(’23∼’27) 기본계획은 코로나19로 크게 달라진 식품산업의 여건과 전망을 분석하고, 향후 5년간의 식품산업 성장전략을 제시했다.
이번 대책의 주요 내용은 우선 푸드테크 · 그린바이오 등 첨단기술을 활용해 식품산업의 부가가치를 높여 나간다. 푸드테크 10대 핵심기술 분야 중심으로 지역별 ‘푸드테크 혁신클러스터’를 조성하여 푸드테크를 활용한 중소식품업체의 경쟁력을 높일 계획이다. 또한, 기능성식품·고령친화식품 등 미래 유망 식품도 적극 육성한다.
또한 2027년까지 농식품 수출 150억 불을 달성하기 위해 라면 · 배 등 수출 유망품목을 ‘케이-브랜드(K-Brand)’로 육성하고, 현재 11개인 1억 불 이상 수출 품목을 2027년 20개까지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높아진 한식 인지도를 내수-관광-수출로 연결하기 위해 2027년까지 미식관광상품인 15개의 ‘케이(K)-미식벨트’를 조성하고, 해외 우수 한식당 지정도 확대하여 국산 식재료 수출 확대로 연결한다는 것이다.
이와 함께 김치·전통주·장류 등 전통식품 산업도 활성화시킨다. 김치는 안정적 원료공급 기반 마련, 자동화 공정 개발·보급 등을 통한 품질 경쟁력 강화로 종주국으로서의 위상을 높여 나가고, 전통주는 명주를 육성하여 수출상품으로 키운다. 장류는 발효 기술의 과학화를 통해 소스 산업으로 육성한다.
특히, 농업과 식품산업 간 지속가능한 상생 협력 체계를 구축한다. 식품기업-농가 간 계약재배를 지원하는 ‘원료중계 플랫폼’을 구축하고, 원료 생산단지 확대, 식품 소재·반가공 산업 활성화, 국산 원료 사용 우수기업에 대한 정책 지원 및 포상 확대 등을 통해 협력체계의 지속가능성을 도모한다.
(농업환경뉴스 = 윤준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