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31 (일)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농업문화 유산

농업유산 교육, ‘청소년’ 지역 애착심과 농업 감수성 높여

농촌진흥청, 농업유산 교육프로그램 첫 시범운영 결과 발표

 

 

 농촌진흥청이 개발한 농업유산 자유학년제 교육프로그램을 지역학교에 적용한 결과, 청소년의 지역 애착심과 농업 감수성이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농업유산 교육프로그램은 자연환경에 적응하며 오랫동안 발달해온 농업기술이 지닌 환경, 문화, 경제, 사회영역의 핵심가치를 청소년에게 이해시키고 지속가능한 농업과 농촌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하기 위해 개발됐다.

농업유산 자유학년제 교육프로그램을 지역학교 특성에 맞게 조정해 5∼11월 전남 완도 청산중학교, 구례 산동중학교와 전북 부안 하서중학교 등 3개 학교에 시범적으로 적용했다.

이번에 적용한 프로그램은 다양한 탐색 기회가 주어지는 중학교 자유학년제에 특화돼 있으며, 지역사회와 연계한 현장 중심 교육 활동으로 구성돼 있다.

시범학교는 국가중요농업유산 15개 지역 중학교를 대상으로 희망 학교를 공모해 운영계획 심사를 거쳐 선정했다.

프로그램 참여 학생들의 지역 애착도는 1.95에서 2.16(4점 척도)으로 10.8%가 증가했으며, 세부적으로는 지역사회 호감도(1.96→2.24/4점 척도), 타인정서 이해(1.95→2.19/4점 척도), 이웃 되기(1.77→1.97/4점 척도), 공동체 심리(2.11→2.23/4점 척도) 수준이 향상됐다.

특히 자유학년제를 통해 2~3학년보다 다양한 주제 활동에 참여한 1학년생의 지역 애착도는 1.83에서 2.41(4점 척도)로 31.7% 크게 향상되었는데, 구체적으로 지역사회호감도(1.83→2.30/4점 척도), 타인정서이해(1.74→2.56/4점 척도), 이웃되기(1.68→2.26/4점 척도), 공동체심리(2.09→2.52/4점 척도)에 대한 개선효과가 나타났다.

참여 학생들은 “농업이 나의 생활과 밀접하다는 것을 깨달았다.”, “농업분야에 농부 말고도 다양한 직업이 있었다.”, “농업유산이 지역 경제에 큰 역할을 한다.” 등 구체적이고 폭넓은 농업 관련 지식을 얻었다고 답했으며, 농업에 대한 관심과 가치 인식, 진로의사가 있음을 확인했다.

완도 청산중학교의 경우 1학년을 대상으로 모든 과목에 농업유산을 접목해 44차시 수업을 운영했으며, 그 결과, 참여 학생들의 지역 애착 도는 1.84→2.04(4점 척도)로 10.9% 증가했으며, 세부적으로는 지역사회 호감도(1.95→2.31/4점 척도), 타인 정서이해(1.82→1.96/4점 척도), 이웃되기(1.57→1.73/4점 척도), 공동체심리(2.02→2.16/4점 척도) 수준이 높아졌다.

구례 산동중학교의 경우 전교생을 대상으로 자유학년제와 창의체험활동을 활용한 28차시 수업을 운영했다. 그 결과, 참여 학생들의 지역애착도는 1.92→2.18(4점 척도)로 13.5% 높아졌고, 특히 지역사회호감도(1.83→2.10/4점 척도), 타인정서이해(2.00→2.30/4점 척도), 이웃되기(1.77→2.09/4점 척도), 공동체심리(2.07→2.25/4점 척도) 수준이 크게 개선됐다.

부안 하서중학교의 경우 전교생을 대상으로 자유학년제와 창의체험활동 18차시 수업을 운영했다. 그 결과, 참여 학생들의 지역애착도는 2.09→2.25(4점 척도)로 7.7% 증가했고, 지역사회호감도(2.10→2.32/4점 척도), 타인정서이해(2.04→2.32/4점 척도), 이웃되기(1.98→2.10/4점 척도), 공동체심리(2.23→2.28/4점 척도) 수준이 증가했다.

이번 연구는 유엔식량농업기구(FAO) 세계중요농업유산(GIAHS) 22개국 62개 지역을 통틀어 학교 교육과정에서 농업유산 교육프로그램을 운영한 첫 번째 사례로, 관련 학계에서도 의미 있는 활동으로 주목한 바 있다.

농촌진흥청 농촌환경자원과 김미희 과장은 “미래농업을 책임질 혁신적인 인재가 농촌에 유입될 수 있도록 다양한 방법을 모색해야 한다.”며, “농업유산 교육이 청소년들이 농업을 더 잘 알고 우리 고장에 대한 자부심을 키우는 데 도움이 되는 것으로 확인돼 앞으로 지속가능한 미래농업을 위한 마중물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나의 농업유산 탐험기」

 

활동구분

활동제목

활동내용

지속가능한 농업과 농촌?

사전활동

(1-3차시)

도입

농사와 농업이 다른 거예요?

농사와 농업의 차이 이해

전개

지속가능발전목표가 무엇인가요?

SDGs의 개념, 농업유산의 관계 이해

우리마을의 농업유산

지역 농업유산 이해

전개-주제활동

농업유산 ‘골든벨’

학습내용 복습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환경아이콘.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34pixel, 세로 115pixel환경

자연과 함께하는 농업유산

(4~9차시)

본활동

(4-32차시)

도입

초록이 보낸 편지

지역 농업유산 현황 이해

전개

착한 농사가 만든 농업유산

농업유산과 생물다양성의 관계,
친환경적 전통농업시스템 원리 이해

전개-주제활동

(선택A)인생사진 나들이

농업유산의 특별한 경관 체험

(선택B)농업유산에 숨은 과학

농업유산의 과학적 원리를 모형으로 표현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문화아이콘.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38pixel, 세로 131pixel문화

농업유산, 문화를 품다

(10~14차시)

도입

아는 만큼 들려요

농요/노동요 받아쓰기

전개

문화를 입은 농업유산

농업유산과 관련한 전통문화 이해

전개-주제활동

농업유산, 너와 나의 연결고리

전통문화를 현대적으로 재해석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경제아이콘.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28pixel, 세로 107pixel경제

지역경제를 이해하는 열쇠, 농업유산

(15~20차시)

도입

농업유산이 밥 먹여주나요?

농업유산 관련 상품ㆍ축제 자료사진 감상

전개

숫자로 만나는 농업유산

농업유산과 지역경제의 관계 이해

전개-주제활동

(선택A)내 폰 안의 농업유산

농업유산을 소재로 이모티콘 만들기

(선택B)내 손 안의 농업유산

농업유산을 소재로 상품 만들기

(선택C)직업탐험-농업유산편

농업유산 관련 종사자 취재영상 제작

(선택D)친구야 이런 여행 어때?

또래를 위한 농업유산 여행 프로그램 기획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사회아이콘.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02pixel, 세로 101pixel사회

농업유산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

(21~25차시)

도입

‘팜팜(Palm Farm)-더 게임’

보드게임으로 농업유산의 현황 이해

전개

그것이 알고 싶다, 농업유산

농업유산의 보전/관리실태 이해

전개-주제활동

(선택A)나도 크리에이터

농업유산 소재 단편극 제작

(선택B)보물원정대

세대가 함께 농업유산 보물지도 만들기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축제아이콘.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23pixel, 세로 110pixel종합

농업유산,

모두의 축제

(26~32차시)

도입

우리 이렇게 달려 왔어요

지난 활동자료 감상

전개

축제의 서막

축제 기획

전개-주제활동

도전! 농업유산 ‘골든벨’

‘골든벨’

지난

활동성과 공유

지금, 여기, 인★각

사진전시

우리반 금손은 누구?

모형전시

공연의 신()

공연

소소한 나눔, 이모티콘

이모티콘 나눔

농업유산을 지키는 착한 소비

상품 판매

농업유산을 지키는 100명의 위인

영상관람

나만 따라와~

여행가이드

픽미~픽미!

영상콘텐츠 경연

보물전

보물찾기

군수님, 우리 이야기 좀 해요

지자체장과의 대화

지속가능한 농업과 농촌!

사후활동

(33-34차시)

도입

나도 스타강사

농업유산 특강(다른 지역 농업유산 이해)

전개

지구 마을에도 농업유산이 있어요

국가중요농업유산제도 이해

정리

우리 이제 무엇을 할까요?

지속가능한 농업유산을 위한 다짐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운영매뉴얼_표지(앞면).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2244pixel, 세로 3071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부록_표지(앞면).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2244pixel, 세로 3071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워크북_표지(앞면).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2244pixel, 세로 3071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QR코드.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183pixel, 세로 729pixel

 

농업유산 교육프로그램 운영매뉴얼 및 워크북

농업유산 교육정보 사이트

 

(농업환경뉴스 = 윤준희 기자)


정책

더보기

생태/환경

더보기
유기·무항생제·방목생태축산 홍보···“소비자와 소통 앞장”
(사) 친환경축산협회가 농림축산식품부와 함께 8월 말부터 10월 말까지 ‘지속가능한 한 끼, 친환경축산과 함께’란 슬로건 아래 친환경축산 홍보관을 운영한다고 밝혔다. 친축협에 따르면 홍보관에서는 유기 · 무항생제축산물 인증제도 및 방목생태축산농장 지정제도 소개, 친환경축산물 시식 및 다양한 체험행사 등을 통해 친환경축산의 가치와 중요성을 소비자들에게 널리 알릴 예정이다. 홍보관 운영은 △8월 29~31일 수원메쎄 GOCAF 캠핑박람회 △9월 4일 한국여성농업인전국대회 △9월 13~14일 경기도축산진흥대회 △10월 15일 성수동 언더스탠드에비뉴 △10월 22~26일 이천쌀문화축제 등 다섯 차례에 걸쳐 진행된다. 특히 이번 홍보관 운영을 통해 소비자들이 직접 친환경축산물을 맛보고, 유기·무항생제축산물 인증제도 및 방목생태축산농장 지정제도에 대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다양한 콘텐츠를 구성해 참여와 공감을 끌어낼 계획이다. 친환경축산협회 관계자는 이와 관련 “축산물을 선택할 때 가치소비를 지향하는 소비자들이 점차 늘면서 친환경축산과 관련 축산물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며 “이번 행사를 통해 현장에서 소비자들과 직접 소통하면서 친환경축산의 중요성을 적극 홍보하

건강/먹거리

더보기

기술/산업

더보기
축산물품질평가원, ‘주간 계란 수급 정보’ 제공
축산물품질평가원(원장 박병홍)은 8월 6일부터 ‘주간 계란 수급 정보’를 제공해 국내산 계란의 안정적인 수급과 농가-유통업자-소비자 간 합리적인 거래를 지원한다고 28일 밝혔다. 축산물품질평가원은 이전까지 계란의 전일 거래 가격을 발표해 왔으나, 거래 기준가격 설정을 위해 종합적 정보가 필요하다는 현장 요구에 부응해 주간 단위 생산 및 유통 전반 정보를 제공한다. 축산물품질평가원은 △주간 생산 동향 △주간 유통 동향 △마트 판매 동향 및 계획으로 구성된‘주간 계란 수급 정보’를 통해 계란 산업에 대한 국민 신뢰를 높일 계획이다. ‘주간 계란 수급 정보’를 통해 농가는 생산 및 출하 계획의 수립과 수급 상황을 반영한 합리적 가격 협상이 가능해진다. 유통업체는 가격 변동을 사전에 예측해 매입 시점, 물량 조절, 재고관리 등 효과적인 매입과 판매 전략을 수립할 수 있다. 또한, 소비자는 계란 가격 변동 요인에 대한 이해도가 높아져 합리적인 소비를 할 수 있게 된다. 박병홍 축산물품질평가원 원장은 “‘주간 계란 수급 정보’ 제공을 통한 투명한 정보 공유로 산업의 건전한 성장에 기여하겠다” 며, “앞으로도 현장 목소리를 적극 수렴하고 업계와 협력을 통한 축산물 유통

포토뉴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