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12 (수)

  • 맑음동두천 16.2℃
  • 맑음강릉 18.0℃
  • 맑음서울 17.1℃
  • 구름많음대전 15.2℃
  • 흐림대구 13.9℃
  • 구름많음울산 16.4℃
  • 흐림광주 13.0℃
  • 흐림부산 16.8℃
  • 흐림고창 12.5℃
  • 흐림제주 17.1℃
  • 맑음강화 14.5℃
  • 구름많음보은 14.6℃
  • 구름많음금산 13.7℃
  • 흐림강진군 13.7℃
  • 흐림경주시 15.7℃
  • 흐림거제 14.3℃
기상청 제공

유기농 기술 및 자재

논에 소득형 작부체계 도입, 농가소득 증대 효과

- 감자·참깨·마늘 다모작 작부체계 기술 소개…논 활용도 높아 -

   

 농촌진흥청(청장 박병홍)은 논의 경지이용률을 높이고 새로운 농가소득을 창출할 수 있는 벼 대체작목으로 감자, 참깨, 마늘의 2년 3모작형 재배 순서(작부체계) 기술을 소개했다.

2년 3모작 작부체계는 중부지역 논에 적용해 벼 중심의 주곡작물에서 감자, 참깨, 마늘 등 다양한 소득 작물로 재배작목을 확대하는 새로운 기술이다.

 

 중부지역에서 감자, 참깨, 마늘을 2년 3모작으로 재배할 때 10 아르(a) 당 순소득은 약 7백44만 6천원이다. 벼를 해마다 단작 재배할 경우보다 약 4배 정도 순소득이 높아 농가 소득 증대 효과가 크다.

새로운 작부체계를 도입하면 주산지 위주로 재배, 생산하던 감자, 참깨, 마늘을 밭 이외 논에서도 재배함으로써 안정적인 원료곡 공급 기반이 마련될 것으로 예상된다.

 

중부와 중북부 지역은 남부 지역에 비해 기상 여건상 작물재배 기간이 짧아 단일작물 중심의 작부체계 기술이 개발·보급됐다.  최근에는 기후 온난화와 단기성 품종 개발, 바닥덮기(멀칭) 재배기술이 개발돼 작물 재배시기를 다양화함으로써 논에 새로운 작부체계 기술을 도입할 수 있게 됐다.

 

중부지역에서 2년 3모작으로 감자, 참깨, 마늘을 재배하는 시기와 관리 요령은 다음과 같다.

 감자는 3월 중순에 파종해 6월 하순까지 수확한다. 초기 저온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비닐 씌우기 재배와 생육기간 습해를 줄이기 위한 배수 관리가 중요하다.

 참깨는 재배기간이 짧은 조생 품종을 선택하고 모를 길러 늦어도 7월 상순까지는 이식한다. 생육기간이 줄어 생산량이 줄어드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월동작물인 마늘은 11월 초순에 파종하고, 월동기간 중 비닐을 씌워 냉해와 습해를 방지한다.

 

 경기도 안성시에서 벼를 대규모로 재배하는 농업인 오창환씨는 “최근 논에서 벼 대신 다양한 소득 작물과 연계한 작부체계 기술을 도입해 벼 재배보다 높은 농가소득을 올릴 수 있었다”라고 말했다.

 농촌진흥청 재배환경과 노태환 과장은 “쌀 소비 감소에 대응하고 경지이용률을 높이기 위해 논에서 다양한 밭작물 작부체계 기술 개발이 매우 중요하다" 며 " 내년부터 농가 실증시험을 통해 기술을 현장에 조기 보급하고, 농가소득이 향상될 수 잇도록 기반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농업환경뉴스 = 편집국 기자)


정책

더보기

생태/환경

더보기

건강/먹거리

더보기

기술/산업

더보기
축산업과 농촌 상생, 온실가스 감축 방안, 재생에너지를 통해 찾다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은 2025년 11월 9일(일) 오전 홍성군 결성면 금곡리 원천마을을 방문하여, 돼지분뇨를 활용한 바이오가스 전력 발전시설 및 마을발전소 (육상 태양광)를 시찰하는 한편, 현장에서 지역 주민, 전문가 등과 간담회를 개최하고 애로사항을 청취했다. 이번에 방문한 원천마을은 2014년부터 마을주민들이 자발적으로 ‘ 에너지 자립마을 ’을 목표로 노력하고 있는 곳으로, 2021년 바이오가스 시설 (430kWh 규모)을 설치하였고, 2025년에는 마을 태양광을 설치 (495kWh 규모)하여 발전 수익을 마을 주민들에게 공유할 예정이다. 송미령 장관은 “ 농촌 내 가축분뇨, 유휴부지 등 활용되지 않던 자원들이 마을 공동체의 노력을 통해 높은 가치를 지닌 자원으로 거듭나는 모습을 보니 농촌의 지속가능성에 대해 희망을 갖게 된다.”고 하면서 “기후 변화가 화두가 되는 요즘, 재생에너지를 통한 에너지 생산은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 달성에도 크게 기여할 것이다”고 말했다. 또한, “현재는 전력을 판매하여 수익을 공유한다고 들었는데, 향후 당초 목표인 ‘에너지 자립’을 실천할 수 있도록 정부도 적극적으로 지원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농업환경뉴스 =

포토뉴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