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춘진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사장 탄소는 순환한다. 공기(기권)와 땅(지권), 바다(수권), 생물(생물권) 사이에서 형태를 바꿔 가며 돌고 돈다. 자연 환경에서는 탄소의 배출량과 흡수량이 균형을 이뤄 탄소순환이 정상적으로 작동했다. 하지만 인간의 활동으로 이산화탄소 배출이 늘어나면서 순환 시스템이 깨졌다. 땅속에 저장됐던 탄소가 공기 중에 배출됐고 대량의 탄소는 순환하지 못한 채 공기 중에 머물게 됐다. 이는 온실가스 농도를 증가시켜 지구의 온도를 높였다. 인류는 기후위기를 마주하게 됐다. 기후위기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탄소배출을 감축하는 것이 중요하다.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를 줄여야 하는 것이다. 이 열쇠를 흙에서 찾을 수 있다. 흙의 탄소격리능력에서다. 흙에 저장된 탄소량은 4조 1000억t으로, 천연 ‘탄소저장고’ 역할을 한다.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IPCC)는 산업혁명 이후 1850년부터 2019년까지 이산화탄소가 2400Gt 배출됐다고 밝혔다. 그런데 흙은 대기 중 이산화탄소의 34%, 바다는 26%를 흡수하는 능력이 있다. 흙이 망가지면 인간의 삶도 황폐화된다. 흙은 생명의 원천이자 인류 생존의 필수 요소이기 때문이다. 흙 1㎝가 만들어지
작년 말부터 농업계의 가장 큰 화두였던 쌀 시장격리 문제가 지난달 25일 고위당정협의회에서 쌀 45만 톤을 시장격리하겠다는 방침을 발표하면서 일단락되었다. 이로써 정부에서는 작년 말부터 3차례에 걸친 쌀시장격리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으로 하락하던 산지 쌀값이 적정 수준으로 회복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문재인 정부기 반복적으로 시행하겠다고 약속했던 쌀 시장격리 조치이기 때문에 불가피한 조치로 생각된다. 그나마 2022년산 신규 물량이 시장에 출하되기 전에 결정한 조치라서 다행으로 생각된다. 이와 함께 정부에서는 쌀값 보장을 위한 대책으로 농민단체에서 요구하고 있는 쌀 시장격리 의무화 규정을 포함하는 양곡관리법 개정안에 대해서는 ‘쌀 공급과잉 심화, 재정 부담 가중, 미래 농업 발전 저해 등의 부작용이 크다’고 부정적인 입장을 밝혔다. 우리나라 농업의 현실적인 문제를 해결하고 장기적인 발전을 도모하기 위한 바람직한 결정이라고 생각된다. 농업은 예전부터 국가의 기간산업이었고, 최근에는 미래성장산업으로 각광받고 있다. 따라서 농민들이 농업생산과정에서 발생한 문제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면 정부가 나서서 해결해주고 지원해 주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이것은 단지 농업에만 그
나날이 혼란스러운 외래어가 늘어나고 있다. 그 의미를 모르고 짐작삼아 일상생활을 하면서 곤혹스러움도 많다. 왜냐하면 코로나19 전염병(펜데믹)열풍은 2년이 경과 하여도 더 심하기만 하니 삶이 고통이기 때문이다. 필자가 일전에 10여 가지 언급을 한지 얼마 안 되었는데도 불구하고 신조어가 남발(유행)함에 따라 그 용어를 다시 살펴보고자 한다. 1. 스마트시티란 정보통신기술(ICT)을 활용해 도시 경쟁력과 시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도시의 지속가능성을 추구하는 혁신도시를 말한다. 2. 상장지수펀드(ETF/ Exchange, Traded, Fund) 인덕스펀드(한권의 책속에 수록된 중요한 내용들 중 원하는 항목을 쉽게 찾아볼 수 있도록 해놓은 색인(목록)이라는 뜻. 즉 지수나 지표로 풀이 되는 수학적인 용어)를 거래소에 상장시켜 투자자들이 주식처럼 편리하게 거래를 할 수 있도록 만든 상품을 말한다. 3. 대체불가능토큰(NFT)Non-Fungible Token 시장은 이른바 ‘크립토 네이티브’가 주도하고 있다. 가상자산과 블록체인 시장에 일찍부터 관심을 둬온 사람들이다. 주요 NFT기업 창업자와 NFT투자자는 대부분이언 크립토 네이티브다. 이들은 일반인에게는 암호
지난 2년간‘코로나 19’는 인간의 모든 활동을 마비시켰다. 이번 21회‘수필의 날’행사도 과연 예정대로 개최될 것인지에 촉각이 곤두섰다. 다행히 정상 진행된다는 주관부서의 답변을 듣고서야 안도했다. 매번 개최되는 수필의 날 행사이지만 참여할 때마다 마치 초등학교 시절 소풍을 앞둔 마음처럼 설렌다. 이 행사를 통해 필자는 창작 의욕을 불태우고 소진(消盡)한 필력을 충전받기에 그렇다. 처음 도착한 곳이 전주 문학관이다. 학예사의 설명을 듣고 전시장을 둘러보니 전북 문학의 역사성과 이곳 출신 문인들의 발자취가 일목요연하게 눈에 들어온다. 현관 입구 비취된 몇 권의 책 들 중에서 『한국문학의 메카 전북 인문학의 향기 2020(제3집)』가 눈에 확 띄었다. 목록에는 전북문학관 지상강좌 정극인(丁克仁:1401~1481)의 ‘상춘곡’을 비롯한 38편, 문화광장 9편(전주음식 계보 등), 전북문협 특집 3편(‘현대시의 시법’‘시와 道’,‘고군산도 지명 유래와 전설’)이 수록되어 있었다. 한마디로 전북 문학의 정수(精髓)만 엄선한 것으로 꼭 읽어봐야겠다는 의무감이 싹텄다. 이 중에서 윤재청 수필집 『인생수필』, 조윤수 에세이 『혼놀』,송일선 엮음, 시로 여는 인문학 교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