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24 (월)
- 구름많음동두천 13.8℃
- 맑음강릉 16.8℃
- 연무서울 14.3℃
- 맑음대전 17.6℃
- 맑음대구 15.2℃
- 맑음울산 17.6℃
- 맑음광주 18.1℃
- 구름조금부산 16.8℃
- 맑음고창 17.5℃
- 구름조금제주 21.0℃
- 구름많음강화 14.1℃
- 맑음보은 14.7℃
- 맑음금산 17.2℃
- 맑음강진군 17.7℃
- 맑음경주시 17.3℃
- 구름조금거제 16.9℃
기상청 제공
영농형 태양광 전문가 토론회 개최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은 11월 19일(수) 세종정부청사 농식품부 대회의실에서 열린 「영농형 태양광 토론회」에 참석하여, 농업인 단체, 유관기관, 전문가 등의 의견을 수렴했다. 이번 토론회는 그간 영농형 태양광 도입에 대한 농식품부 추진 방향을 공유하고, 그간 제2차 핵심규제합리화전략회의, 국회 토론회, 간담회, 케이(K)-농정협의체 등 전문가 토론회 등에서 제기되었던 사항에 대한 논의를 진행했다. 주요사항은 ▲발전사업 주체, ▲허용 구역, ▲재생에너지지구 조성, ▲임차농 보호방안, ▲영농확인, ▲관리체계, ▲벌칙규정 등이다. 농림축산식품부는 농촌 재생에너지 확산 보급에 맞춰 영농활동과 전력생산을 병행하는 ‘영농형 태양광’ 도입을 준비하고 있다. 기존 농촌 태양광의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해 ①난개발 방지, ②식량안보, ③수익 내재화의 3대 원칙 아래 기존 도입전략을 재검토하여 촘촘하고 체계적인 제도·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이번 정책토론회를 통해 쟁점사항에 대한 다양한 시각과 입장을 수렴하고 ‘(가칭)영농형태양광특별법안’에 반영할 예정이다. 송미령 장관은 “ 이번 토론회는 영농형 태양광 도입에 대한 의견과 농업·농촌을 위한 해법을 다함께 논의할 수 있는
수입 묘목류의 식물검역 훈증제 약해, 과학으로 줄인다!
< 모델 식물(애기장대) 대상 훈증제(좌), 훈증제+식물약해 저감 기술 적용(우) > 농림축산검역본부 (본부장 최정록, 이하 검역본부)는 식물검역 훈증제인 에틸포메이트 (Ethyl Formate, EF) 및 포스핀 (Phosphine, PH3)을 수입 묘목류에 사용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식물약해 (Phytotoxicity)를 저감하는 기술을 개발하고 특허 출원 및 등록했다고 밝혔다. 검역본부에 따르면 식물검역 훈증제는 농산물, 목재 등 수입 식물의 검역 시 기체(가스) 형태로 사용하는 약제로 외래 병해충 국내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주요 수단 중 하나이다. 하지만 일부 훈증제는 식물체에 손상을 일으켜 생육 저해, 품질 저하 등의 부작용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따라 검역본부는 훈증제 처리로 인한 약해를 줄이기 위해 경북대학교 이성은 교수 연구팀과 공동연구를 추진해 왔으며, 수입 묘목류의 검역 시 사용하는 주요 훈증제 2종 (에틸포메이트, 포스핀)의 식물약해 저감 기술을 개발했다. 첫 번째는 ‘에틸포메이트에 의한 수입 묘목류 약해 저감방법 및 검역해충 훈증방제용 조성물’로, 에틸포메이트 훈증 전 에틸렌과 탄산수소나트륨을 처리해 식물약해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