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3.11 (월)

  • 흐림동두천 6.0℃
  • 흐림강릉 11.8℃
  • 흐림서울 5.9℃
  • 흐림대전 8.4℃
  • 구름많음대구 10.4℃
  • 구름많음울산 13.2℃
  • 흐림광주 10.5℃
  • 구름많음부산 11.8℃
  • 흐림고창 10.2℃
  • 흐림제주 12.5℃
  • 흐림강화 5.9℃
  • 구름많음보은 7.6℃
  • 흐림금산 7.6℃
  • 흐림강진군 10.8℃
  • 구름많음경주시 13.4℃
  • 구름조금거제 12.1℃
기상청 제공

2020년 귀농․귀촌 실태조사 결과 발표

귀농 준비 25.8개월, 귀농 5년차 가구소득 3,660만 원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 25일 ‘ 최근 5년간 (‘15~’19) 귀농 ‧ 귀촌 4,066가구 (귀농 2,038, 귀촌 2,028)를 대상으로 한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귀농 귀촌 유형 >

 

주요 조사 결과에 따르면 10가구 중 7~ 8가구는 농촌에 연고가 있거나 경험이 있는 경우 ( U ‧ J 형 및 일부 I형)에 해당 된다. U형은 농촌에서 태어나 도시생활 후 연고가 있는 농촌 이주 (귀농 57.6%, 귀촌 28.6%) 이며,  J 형은 농촌에서 태어나 도시 생활 후 연고가 없는 농촌 이주 (귀농 21.1%, 귀촌 28.4%) 이다. I 형은 도시에서 태어나 연고가 있는 농촌으로 이주 (귀농 6.1%, 귀촌 9.2%)이다.

U형 귀농 증가세는 지난 ’18년 53.0% → (’19) 54.4% → (‘20) 57.6% 로 농촌에서 태어나 도시생활 후 연고지 귀농 (U형)은 70대 이상 (71.8%), 도시에서 태어나 연고 없는 곳 이주 (I형 2)는 40대(18.3%)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귀촌 가구의 33.8%는 도시에서 태어나 연고가 없는 농촌으로 이주한 것으로 나타났다.

 

귀농의 이유는 자연환경 (30.5%), 농업의 비전 ‧ 발전 가능성 (23.0%), 가업승계 (13.1%) 순으로 응답했으며, 귀촌은 농산업 외 직장취업 (24.1%), 정서적 여유 (15.3%), 자연환경 (13.7%), 저렴한 집값(9.6%) 순으로 응답했다.

특이 사항은 귀촌 가구의 14.7%가 귀촌 이후 5년 이내에 농업에 종사했으며 연령별는 (50~60대) 18.7%, (40대) 14.1, (30대 이하) 13.4, (70대 이상) 7.1 이다.

 

<귀농귀촌 준비 >

 

귀농 귀촌 준비기간은 귀농 준비에는 평균적으로 25.8개월 , 귀촌 17.7개월 각각 소요된 것으로 나타났다.

귀농 준비기간 동안 정착지역 탐색(42.2%), 주거 · 농지 탐색 (29.3%), 귀농 교육(12.2%), 자금조달 (11.5%), 귀농 체험(1.7%) 등을 수행했다. 귀농준비기간은 지난 ’19년 25.1개월에서 ‘20년 25.8개월로 증가 추세를 보였다

귀농 귀촌 교육은 귀농가구의 47.7%, 귀촌가구의 16.0%가 온-오프라인, 선도농가 인턴십 등 교육을 이수했다. 특이사항은 귀농 교육 이수 여부에 따라 농업소득에서 차이를 보이며, 특히 귀농 5년차의 소득은 이수 2,988만원, 미이수 1,277만원 으로 차이를 보였다.

연차별 소득 ( 이수/ 미이수)은 1년차(1,337만원/834만원)에서 2년차(2,099/978) → 3년차(2,284/1,220) → 4년차(2,413/1,101) → 5년차(2,988/1,277) 순이다.

귀농 귀촌 교육에서 가장 개선되어야 할 점으로 다양한 교육 콘텐츠 개발 (35.1%), 현장실습 연계 강화(17.6%), 수준별 강좌 개설(17.5%) 등 응답했다.

귀농 귀촌 전 ‧ 후 소득 변화는 귀농 1년차 가구소득은 2,782만원이며, 귀농 이후 5년차(3,660만원)까지 귀농 전 평균 가구소득(4,184만원)의 87.5% 수준으로 회복했다.

귀촌 1년차 가구소득은 3,436만원이며, 귀촌 이후 5년차 3,624만원까지 귀촌 전 평균 가구소득(3,932만원)의 92.2% 수준으로 회복했다.

연차별 소득 (귀농/귀촌)은 1년차 (2,782만원/3,436만원)에서 2년차(3,100/3,124) → 3년차(3,367/3,411) → 4년차(3,434/3,589) → 5년차(3,660/3,624)이다.

 

<귀농귀촌 경제활동 >

 

귀농 가구의 50.1%가 농업생산활동 외 경제활동을 수행하고 있으며, ‘ 일반직장 취업’(26.6%), ‘임시직’(21.3%), ‘자영업’(19.1%) 순으로 농외 경제활동 수행이유는 소득을 더 올리려고(84.2%), 재능 활용(7.7%) 순이다.

특이사항은 농외 경제활동을 수행하는 가구와 미수행 가구의 소득은 귀농 초기에는 큰 차이를 보이나, 귀농 연차가 쌓일수록 미수행 (영농 집중) 가구의 소득 상승, 5년차에 수행 가구의 92% 수준 도달한다. 연차별 소득(수행/미수행)은 1년차 (3,299만원/2,255만원) → 2년차(3,242/2,967) → 3년차(3,779/2,952) → 4년차(3,749/3,104) → 5년차(3,804/3,514) 순이다.

귀촌 가구 10가구 중 9가구 (88.5%)는 일반 직장, 자영업, 농사일, 임시직 등 경제활동을 수행

하며 수행 경제활동은 일반직장(57.8%), 자영업(20.1%), 농사일(16.6%), 임시직(16.3%), 비농업부문 일용직(2.5%), 농업임금노동(2.4%) 등 순이다.

경제 활동 수행시 어려움은 ‘지역 내 인프라 부족’(20.7%), ‘능력 부족’(19.9%), ‘시간 부족’(17.3%), ‘기회‧정보 부족’(15.9%) 순이다.

 

<주 작목 선택 >

 

귀농 후 재배하고 있는 주소득 작목은 과수(22.5%), 논벼(21.9%), 노지채소(20.2%), 시설채소(10.7%) 순이며, 작목 선택 이유는 재배의 용이성(48.4%), 높은 소득(21.0%), 주변인 권유(16.9%), 지역 특화작목(8.5%) 등이다.

 

<귀농귀촌 전‧후 지출>

 

귀농귀촌 前 월 평균 생활비는 귀농가구 269만원, 귀촌가구 260만원 수준이나, 귀농귀촌 후 귀농가구 184만원, 귀촌가구 205만원이다. 생활비는 주로 식비, 주거 · 광열 · 수도 · 전기, 교통통신비, 교육비 순으로 지출되며 귀농/귀촌 대비는 식비(49.5%/60.8), 주거 ‧ 광열 ‧ 수도 ‧ 전기(19.3/18.4), 교통통신비(9.9/5.5), 교육비(7.8/6.1), 건강 ‧ 의료소비(7.3/3.8), 문화 ‧ 여가생활비(4.5/4.6)이다.

 

<귀농귀촌 후 생활 >

 

거주 주택의 종류는 농가주택을 포함한 단독주택 (귀농 90.6%, 귀촌 49.7%), 아파트․연립주택(귀농 7.0%, 귀촌 48.0%) 순으로 점유 형태는 자가 (귀농 77.1%, 귀촌 62.4%), 전 월세 (귀농 19.6%, 귀촌 35.9%), 지원정책 활용(마을 내 빈집, 귀농인의 집 등 임시거주 : 귀농 3.3%, 귀촌 1.7%) 순이다. 현재 거주지 선택 이유(귀농/귀촌)는 부모‧자녀‧친척 또는 지인이 살고있는 연고지(36.6%/22.5%), 이전에 살던 곳(27.9/12.8), 생활환경 편리(8.4/19.4)이다.

지역융화는 지역 주민과 관계가 좋다 (귀농 74.6%, 귀촌 51.4%)는 응답 비중이 높으머 좋지도 나쁘지도 않음은 귀농 23.0%, 귀촌 46.7 % 지역주민과의 관계가 좋지 않다고 응답한 비율은 귀농 2.4%, 귀촌 1.9%로 나타났으며, 응답자가 느끼는 주요 갈등요인은 선입견과 텃세, 생활방식 이해충돌, 집이나 토지 문제 등이다

 

귀농귀촌 10가구 중 6가구(귀농 62.1%, 귀촌 63.3%)가 귀농귀촌 생활에 전반적으로 만족했으며, 3가구(33.1%, 35.4%)는 보통, 불만족은 각각 4.6%, 1.3% 이다. 주요 불만족 이유로 귀농은 영농기술․경험부족(33.6%), 자금부족(31.2%), 귀촌은 영농기술․경험부족(57.2%), 자금부족(22.6%)을 응답했다.

농식품부는 “ 이번 실태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올해에는 지역 밀착형 체험‧정보 제공 강화, 농업 일자리 연계 교육 확대 등 귀농‧귀촌 희망자의 사전 준비와 적응력 강화 방안을 마련, 중점 지원한다” 며 “ 베이비붐 세대의 본격 은퇴와 코로나19로 인한 저밀도사회에 대한 도시민의 관심이 증가하는 상황에서 새로운 고객층의 안정적인 농촌 정착을 지원하기 위함이다”고 밝혔다.

 

(농업환경뉴스 = 관리자 기자)


정책

더보기
한번 보면 누구나 직불금 100% 받는 방법
농업인들이 알기 쉽게, 직불금을 감액 없이 잘 받을 수 있도록 제작한 「2024년 기본형 공익직불제 필수안내서」가 나왔다.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은 매년 공익직불제 필수안내서를 만들고 있으나 올해에는 고령 농업인의 편의를 위해 사진 등을 이용해 가독성을 높이고, 영농과정에서도 이용되도록 활용도 제고에 주안점을 두고 새롭게 만들었다. 우선 필수안내서를 보는 고령자를 배려하여 사진, 그림, 농관원 캐릭터(안심이와 구별이) 등을 곳곳에 활용하는 등 공익직불금의 종류와 지급대상 등을 알기 쉽게 설명하고 있다. 특히, 농업인의 준수사항을 한번만 읽어보면 누구나 직불금을 100% 받을 수 있도록 일목요연하게 정리한 것이 특징이다. 그밖에 다양한 직불제도 안내, 농업경영체 갱신, 농산물 안전성 조사 등 농업인에게 유용한 정보를 다수 수록하였으며, 후반부에는 영농일지로 활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이번에 제작된 필수안내서는 150만 부로 읍면동사무소를 통해 3월 22일까지 농업인에게 배부할 예정이며. 필수안내서를 배부받지 못한 경우에는 가까운 농관원 지원 · 사무소에서도 배부 받을 수 있다. 박성우 농관원장은 “직불금을 신청하신 농가가 필수안내서를 잘 숙지하여 모두가 직불금

생태/환경

더보기

건강/먹거리

더보기

기술/산업

더보기

포토뉴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