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2.24 (토)

  • 흐림동두천 -1.2℃
  • 흐림강릉 -0.6℃
  • 구름많음서울 -0.1℃
  • 구름많음대전 3.0℃
  • 흐림대구 3.0℃
  • 흐림울산 4.2℃
  • 흐림광주 2.9℃
  • 흐림부산 4.1℃
  • 흐림고창 2.8℃
  • 제주 6.9℃
  • 구름조금강화 -0.1℃
  • 흐림보은 1.6℃
  • 흐림금산 2.1℃
  • 흐림강진군 3.4℃
  • 흐림경주시 2.7℃
  • 흐림거제 4.4℃
기상청 제공

“기후변화 대응, 농업 정책 우선순위에 놓아야”

‘농업부문 기후변화 적응 주류화를 위한 정책과제’ 연구 통해 밝혀

지구온난화에 따른 기후변화의 영향이 커짐에 따라 신속한 대응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 농업 · 농촌 부문 기후변화 정책은 온실가스 감축에만 초점이 맞춰져 있어, 다양한 정책 프로그램 등에 기후변화 요소를 반영하고 통합하는 기후변화 정책의  ‘주류화’ 추진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왔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KREI, 원장 김홍상)은 최근  ‘농업부문 기후변화 적응 주류화를 위한 정책과제’ 연구를 통해 이같은 내용의 농업부문 기후변화 적응과 주류화 관련 정책 현황을 분석‧평가하고, 농업부문의 효과적인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정책 과제를 도출했다.

 

성재훈 연구위원은 “기후위기 대응의 초점이 온실가스 감축에 맞춰짐에 따라 기후변화 적응에 대한 정책적이고 정치적인 관심과 우선순위는 감축에 비해 뒤처져 왔다”고 밝히며, “효과적인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점진적이고 혁신적인 접근법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기후변화 적응 주류화(Mainstream)는 기후변화 적응의 효과적 이행을 위한 수단으로서, 정부 정책뿐만 아니라 농가 생산 관련 의사결정에 적응을 고려하는 것을 의미한다.  우리나라도 국가 기후변화 적응대책을 통해 기후변화 적응 주류화를 위한 제도개선을 추진하고 있다.  연구진은 농업부문도 적응 주류화를 위한 적극적인 정책적 ‧ 제도적 노력이 국가 단위로 이루어지고는 있지만, 아직 정책적 기반은 부족하다고 밝혔다.  구체적으로 제3차 국가 기후변화 적응대책(2021~2025) 세부 계획에는 농업부문의 적응 주류화 정책 기반 관련 과제는 포함되어 있지 않으며, 정보제공이나 적응 기술 개발과 같은 R&D사업, 기술 확산을 위한 시범사업, 그리고 농업용수 관리를 위한 인프라 관련 사업 등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또한, 농업부문 적응 주류화 관련 계획과 진전도를 평가한 결과 국가 및 지자체의 기후변화 적응대책은 지속적으로 개선되고 있는 반면, 농업부문의 적응 주류화를 위한 계획은 오히려 약화된 것으로 분석됐다.

 

기후변화 대응 총괄부서의 적응 담당자를 대상으로 한 면담 조사 결과, 기후변화 대응 관련 정책적 우선순위 역시 온실가스 감축에 있었으며, 기후변화 적응에 대한 우선순위와 인식은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것으로 조사됐다.

 

또한, 정책 담당자들의 적응 필요성에 대한 인식 역시 부족하며, 기후변화 대응은 온실가스 감축에 더욱 초점이 맞추어져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진은 이를 바탕으로 농업부문 적응 주류화를 효과적으로 진행하기 위한 정책과제로 △법 개정을 통한 정책 우선순위 향상 △적응을 고려한 직불금 제도 도입 △ R&D와 적응정책 간의 연계 강화 △ 중앙정부-지자체 간 적응 파트너십 구축 △ 적응 모니터링 및 평가 시스템 구축 △ 기후변화 대응 플랫폼 구축을 통한 기후서비스 제공을 제시했다.

 

특히 농업 부문의 적응에 대한 낮은 정책 우선순위와 기후위기에 대한 부족한 인식은 적응정책 수립은 물론 적응 주류화를 통한 적응 이행의 가장 큰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고 언급하며, 농업 · 농촌 및 식품산업 발전 계획에 기후변화 적응을 명시하는 등 기후변화 대응에 대해 높은 정책 우선순위를 설정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마지막으로 적응에 대한 정책적 우선순위 향상과 적응 주류화를 위해 농업소득과 직접적으로 연관된 농업환경지불금 제도를 활용해야 한다고 언급했다. 보다 구체적으로, 공익직불금을 통한 기후변화 적응 주류화의 시발점으로 온실가스 감축과 기후변화 적응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기후스마트 농업을 중심으로 직불금 제도를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의견을  덧붙였다.

 

(농업환경뉴스 = 윤준희 기자)


정책

더보기
벼 재배면적 감축, 한마음 한뜻으로 뭉쳤다
농업인 생산자단체와 축산단체 , 관계기관이 벼 재배면적 감축을 위해 한마음 한뜻으로 뭉쳤다. 농림축산식품부는 2월 20일(화) 세종시 소재 NH농협생명 세종교육원 대강당에서 쌀․콩 관련 생산자단체와 조사료 관련 축산단체 및 관계기관 등과 함께 올해 ‘ 쌀 적정생산 대책’의 성공적인 추진을 기약하는 업무협약식과 성공 결의대회를 가졌다. 생산자단체는 쌀전업농중앙연합회, 들녘경영체중앙연합회, 쌀생산자협회, 국산콩생산자협회가 참여했으며, 축산단체는 한우협회, 낙농육우협회, 조사료협회, 관계기관은 농식품부, 농촌진흥청, 농협경제지주, 지자체 등이참여했다. 행사에 참여한 기관․단체들은 쌀이 구조적으로 공급과잉되고 있는 현 상황에 대한 인식을 공유하고, 쌀 산업 발전을 위해 벼 재배면적을 줄여 쌀 수급을 안정시킬 것을 결의했다. 농식품부는 벼 재배면적 2만6천ha 감축을 목표로 「쌀 적정생산 대책」추진에 관한 사항을 총괄 지원하고, 농촌진흥청은 타작물 재배기술, 고품질 품종 개발 및 보급 등을 위해 노력하며, 농협경제지주는 콩․조사료 등 타작물 계약재배 및 안정적인 판로 등을 지원할 계획이다. 쌀․콩 관련 생산자단체는 단체별 감축목표를 설정하고, 회원 농가들의 적극적인

생태/환경

더보기
22대 총선, '환경농업 목표와 과제' 확산 총력
환경농업단체연합회가 올해 다중위기 시대, 환경농업·먹거리 정책제시와 생·소 이타적 대국민 활동을 계획하고 있는 가운데 22대 국회의원 총선거를 통해 환경농업 목표와 과제 확산에 총력을 기울이겠다고 밝혀 주목받고 있다. 환경농업단체 연합회는 지난 2월14일 한살림연합 지층회의실에서 제29차 정기총회를 개최하고△농업생태계 보전 정책 확산 △농업/ 농촌/ 농민위기 극복을 위한 현안에 적극 개입 및 역할 강화 △ 환경농업확장을 위해 諸 단체와 연대하고 구심체로서의 역할 수행 △ 연합회 비전을 다시금 검토하고 조직 논의 새롭게 전개 등 올해 활동목표를 밝혔다 이날 총회에서 환농연은 환경가치 중심의 농업/농촌/농민 확장과 녹색을 아우러는 시민사회단체와 연대하여, 도시 소비자와 농촌 생산자간 자립 협동 공생 순환을 모색한다고 언급했다. 주요 지표로 농지보전, 쌀 소비촉진, 기본소득 의제를 검토키로 했다. 특히 환농업은 22대 국회의원 총선거를 통해 환경농업을 목표와 과제 확산을 위해 ‘ 농정대전환 민민 거버넌스 실천 활동’ 을 전개키로 했다. 이를 위해 환경농업 및 먹거리, 시민사회단체가 참여하는 환경농업과 먹거리 · 농정대전환 공동정책단을 구성하고 ‘기후위기, 농업 먹

건강/먹거리

더보기

기술/산업

더보기

포토뉴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