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코로나-19로 인해 건강에 대한 관심과 더불어 성인 영양식의 수요가 크게 증가한 가운데, ‘친환경’ 등의 프리미엄이 붙은 유기농 산양유에 대한 수요층이 크게 늘어나고 있어 주목받고 있다.
관련업계에 따르면 국내 단백질 시장은 2018년 813억 원에서 2021년 3,364억 원 규모로 크게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산양유 성분을 함유한 단백질 분말 제품들의 수요가 급증했다. 단백질은 물론 면역력 향상에도 탁월한 가공되지 않은 산양유 본연의 맛을 찾는, 산양유 소비자들 또한 크게 늘어났다.
이에 따라 ‘친환경’, ‘유기농’ 등 프리미엄이 붙은 제품을 찾는 소비자들도 크게 늘고 있지만 현재 국내 유기농 산양유 생산 농가는 단 6곳으로, 공급이 수요를 따라가지 못하는 상황이다. 더욱이 유산양은 축종의 특성상 유량이 감소하는 건유기가 있어, 개별 농가들은 기존 충성고객들의 수요조차 맞추기 쉽지 않고 있다.
수요는 많고 공급은 적은 상황. 이에 따라 블루오션이 된 유기농 시장에 뛰어드는 유산양 농가가 증가하고 있다.
(사)친환경축산협회에 따르면 농림축산식품부의 유기축산물 인증 전환 컨설팅을 통해 지난해 유기축산물 인증을 받은 농가 3곳 중 2곳 (해맑은목장, 언덕위산양목장)이 유산양 농가였으며, 올해는 4곳 중 3곳(오르목장, 이의현농장, 세진목장)이 유산양 농가인 것으로 확인됐다. 유기축산으로의 전환 의지가 전 축종 중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보인다.
현재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산양유 중 프리미엄이 붙은 유기농 산양유는 소비자인 고객들의 니즈에 맞춰 각자 다른 차별화 전략으로 시장에서 존재감을 드러내고 있다.
<언덕위산양목장의 반려동물 전용 산양유 >
지난해 유기축산물 인증을 받은 전북 장수의 언덕위산양목장은 반려동물 전용 산양유 시장에 진출했다. 젊은 고객층이 많은 특성을 이용해 SNS로 활발히 소통하며 다채로운 이벤트, 아기자기한 패키지로 점차 인지도를 키우고 있다.
<이레목장의 유기농 산양유(좌)와 수암숲속목장의 유기농 산양유(우) >
유기농에 ‘방목’의 프리미엄을 더한 농가들도 있다. 방목생태축산 지정농장인 전남 광양의 이레목장과 충북 괴산의 수암숲속목장이 그곳이다. 유기축산의 경우 필수적으로 일정 면적 이상의 방목지가 요구된다. 이러한 점을 살려 방목지의 면적을 늘려 유산양들이 조금 더 자유롭고 생리에 맞게 자랄 수 있도록 조건을 갖춘 경우이다.
< 해맑은목장의 유기농 산양유 >
반대로 방목생태축산 지정농장인 충북 영동의 해맑은목장은 방목에 ‘유기농’ 프리미엄을 더했다. 직접 기른 산야초와 유기농 사료를 먹여 건강하고 영양 가득한 산양유를 생산하고 있다.
이와 관련 국내 유기 산양농가의 인증 전환을 지원하고 있는 구봉모 친환경축산협회 대리는 “산양유 소비시장이 크게 늘면서 협회에 유기농 산양유에 대한 소비자들의 문의가 크게 늘었다”며 “신규 농가 발굴은 물론 기존 유기 산양농가에 대한 지원도 꾸준히 이어나갈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농업환경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