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7.27 (토)

  • 흐림동두천 30.2℃
  • 흐림강릉 32.2℃
  • 흐림서울 31.2℃
  • 구름많음대전 31.9℃
  • 구름많음대구 30.6℃
  • 구름많음울산 32.0℃
  • 광주 27.1℃
  • 구름조금부산 30.4℃
  • 구름많음고창 29.5℃
  • 제주 30.7℃
  • 흐림강화 29.5℃
  • 구름많음보은 30.6℃
  • 흐림금산 30.7℃
  • 흐림강진군 30.4℃
  • 구름많음경주시 33.3℃
  • 구름많음거제 29.6℃
기상청 제공

친환경 생태축산

저탄소 축산업 실현, 혁신적 저탄소 기술 개발 긴요

- 2023년 한국축산경영학회 하계학술대회 성료 -

   2023년 한국축산경영학회 하계학술대회가 지난 24일 국립 한국농수산대학교에서 ‘ 2050 탄소중립을 위한 환경친화적 축산으로의 전환 과제’ 이 라는 대 주제로 개최됐다.  이날 학술대회에서는 ' 축산은 비에너지 분야 온실가스 배출원으로 상당한 비중을 차지한다' 며 ' 저탄소 축산업 실현을 위한 비전 설정과 실효성 있는 정책 추진과 혁신적 저탄소 기술 개발이 긴요하다' 는 주장도 제기됐다.

 

1부 행사에서는 ‘ 2050 탄소중립을 위한 친환경적 축산으로의 전환과제’ 주제와 관련, 서준환 농림축산식품부 축산환경정책과장의 2050 탄소중립을 위한 축산 정책 방향과 김창길 서울대 아시아연구소 방문학자의 2050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축산분야 연구 동향 및 과제‘의 각각의 발표가 있었다.

 

탄소중립 실현을 축산정책 방향-

 

서준환 축산환경정책과장은 “ 축산악취 등으로 축산업 부정적 인식이 증가하고, 2050 탄소중립 실현과 2030 NDC 감축 목표 상향 (축산은 농업분야 감축량의 84.7%) 조정환 상황에서 저탄소 환경친화적 축산업 전환은 필요하다 ” 며 “ 축산환경 정책방향은 국내 적정 생산을 유지하면서 분뇨 발생량 감축과 분뇨처리의 다각화 ( 탄소저감형 처리)에 있다”고 밝혔다.

 

서 과장은 저탄소 사양관리 추진전략으로 저 메탄 사료 개발 및 보급, 저단백 사료 확대, 사육기간 단축 및 정밀 사양관리 등을 소개했다. 메탄 저감제 첨가 시 기존 장내 발효 온실가스 배출량에서 10% 이상 감축 가능하며, 축종별 생산성 향상을 통한 분뇨 및 온실가스 감소를 유도한다는 것이다.

 

서 과장은 분뇨의 처리 방향 다각화와 관련 추진전략으로 가축분뇨 에너지화 확대, 가축분뇨 적정처리 확대, 정화처리 비중 확대, 바이오차 등 탄소 고정 물질 전환 등을 밝혔다. ’30년까지 가축분뇨 830만톤을 바이오 가스, 고체연료 등 생산에 활용하고,기계 교반,송풍 시설 확대로 가축분뇨 적정처리 시 온실가스 49% 감축, 정화처리는 퇴액비 대비 온실가스 30% 이상 감축 가능, 가축분 바이오차 1톤= 약 2톤㏇2eq 감축 등이 있다는 것이다.

 

서 과장은 끝으로 " 탄소중립과 관련, 에너지 효율형 농장 (홍성 성원농장 )과 저탄소형 농장, 시범사업으로 저탄소 축산물 인증제도를 소개" 하면서  발표를 마무리 했다.

 

- 2050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축산분야 연구동향 및 과제 -  

 김창길 서울대 아시아연구소 방문학자는 “ 현재 국내 농축산부문의 온실가스 배출 현황은 농업의 경우 ‘90년과 비교 시 논 면적 감소와 간단 관계 면적 증가로 벼재배 배출량은 45.9% 감소한 반면 축산은 육류소비 증가로 장내 발효 배출량 60.2% 증가, 가축 분뇨처리 75.4% 증가 했다” 며 “ 2019년 전세계 온실가스 배출량 540억톤(co2 환산) 중 농업부문 배출량은 약 72억톤으로 13.3% 차지하는 가운데  축산부문은 5.8% 차지한다”고 밝혔다.

 

김창길 방문학자는 " 기존의 축산업으로부터 ’ 지속가능한 저탄소 축산업‘ 체제로 전환하기 위해 비전과 목표 달성을 위한 기본방향 설정을 제시하며 , 2030년 농업 부문 온실가스 감축 목표는 2018년 (940만톤) 대비 29.9%, 281만톤 감축한다 “ 며 ” 정책방안으로 저메탄 사료 저단백질 사료 개발 및 보급, 생산성 향상을 통한 온실가스 및 가축분뇨 저감, 가축분뇨 활용 확대, 바이오차 개발 ·보급을 통한 토양탄소 저장능력 제고 등을 소개했다.

 

김 방문학자는 축산분야 탄소중립 대응 분야별 연구 동향과 관련, 저탄소 농축산물 인증을 통한 저탄소 사양시스템 보급, 축산부문의 온실가스 배출량 정교화 연구, 장내발효 개선을 통한 메탄 감축 연구, 해조류를 이용한 온실가스 배출억제기슬개발, 스마트 경축 순환 농업 추진, 가축분뇨를 활용한 바이오 차 연구, 가축분뇨 열분해 공정기술 개발, 저탄소 가축분뇨 처리 시설 연구, 가축분뇨 고체연료 에너지화 연구, 가축분뇨 재생에너지 자원화 연구, 탄소흡수원 연구, 생산성 향상 및 육종 · 유전체 연구 등의 다양한 연구가 있었다"고 소개했다.

 

김창길 학자는 끝으로 향후 연구과제와 관련 “ 사료 균형 및 효율 개선 분야 연구, 마이크로바이옴 활용 사료 첨가제 개발, 축산부문의 ESG 관련 연구, 새로운 아이디오 기반의 혁신 기술 개발, 저탄소 축산기술의 국제 공동 연구 추진이 필요하다” 며 “ 축산분야의 혁신적인 저탄소 기술개발을 통해 탄소중립의 위기를 기회로 활용하고, 게임체인저로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정경수 건국대 교수의 좌장으로 진행한 종합토론에서 김민경 건국대 교수, 김태연 단국대 교수, 박재홍 영남대 교수, 우병준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선임연구위원, 허태웅 국립 경상대 교수 등이 토론자로 참석해, 2050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축산정책방향과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축산분야 연구동향 및 과제와 관련 열띤 토론을 가졌다.

 

(농업환경뉴스 =  윤준희 기자)


정책

더보기
현장 여건 고려한 규제 합리화로 가축분뇨 적정 처리 이끈다
환경부(장관 한화진)는 가축분뇨 관련 영업의 허가기준 및 과태료의 부과기준을 개선하는 ‘ 가축분뇨의 관리 및 이용에 관한 법률(이하 가축분뇨법)’ 시행령 일부개정안이 7월 23일 국무회의에서 의결되어 이달 30일부터 시행한다고 밝혔다. 이번 시행령 개정은 가축분뇨의 환경친화적 관리 및 처리방식 다각화를 위해 가축분뇨 관련 영업의 기술인력 허가기준을 개선하는 등 현장 여건을 고려해 규제를 합리화했다. 시행령 개정에 따라 가축분뇨 영업을 위해 필요한 기술인력 허가기준은 △수집 · 운반업이 종전 2명 이상에서 1명 이상으로, △처리업이 종전 3명 이상에서 2명 이상으로 개선된다. 이는 ‘물환경보전법’ 및 ‘하수도법’ 등에서 정하는 유사 영업의 기술인력 허가기준과 비슷한 수준이다. 또한, 가축분뇨처리업의 허가를 받으려는 자가 가축분뇨 시설관리업자로 하여금 처리시설의 관리 · 운영을 대행하게 하는 경우에는 기술능력을 갖추지 않을 수 있도록 했다. 아울러, 법령 위반 시 부과하는 과태료의 가중처분이 적용되는 기간을 2년에서 1년으로 단축하고, 가중처분 누적 회차 적용 기준을 그 위반행위 전 부과처분 차수의 다음 차수로 명확히 규정했다. 김종률 환경부 물환경정책관은 “

생태/환경

더보기
극심한 폭염 지속될 때 농작업은 잠시 멈추세요
최근 정체전선의 영향이 줄어든 가운데, 전국적으로 폭염특보가 발효되어 고온으로 인한 농업인의 안전사고 예방이 요구되고 있다. 기상청에 따르면 제3호 태풍 개미가 북상하면서 더위를 몰고 오는 두 개의 고기압이 한반도를 덮어 마치 ‘열돔’처럼 한반도 상층이 더운 열기로 인해 당분간 체감온도 35도 이상의 무더운 날씨가 지속되는 등 올해 극심한 폭염이 예상된다. 기상청 폭염특보 발효 기준에 따르면 폭염 주의보의 경우 일 최고 체감온도 33도이상인 상태가 2일 예상될 때, 폭염 경보는 일 최고 체감온도 35도 이상인 상태가 2일 이상 예상될 때 이다. 이에 따라 농림축산식품부는 야외 논밭에서 농작업을 많이 하는 농업인 특성상 폭염으로 인한 안전사고에 취약하므로 더욱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지난해 농촌지역 논밭과 비닐하우스에서 폭염으로 인한 온열질환자가 443명, 사망자가 16명 발생하였고, 이 중 80%(13명)는 장마철이 지난 후 본격적인 폭염이 시작되는 7월말에서 8월초에 집중됐다. 올해의 경우 지난 7월 23일 하루 종일 포도밭에서 일하던 농업인이 다음날 열사병으로 사망한 것으로 확인됐다. 올해 농작업 후 온열질환으로 인한 첫 사망 사례이다. 농식품부는 농업

건강/먹거리

더보기

기술/산업

더보기

포토뉴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