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2.04 (화)

  • 맑음동두천 -6.6℃
  • 맑음강릉 -2.2℃
  • 맑음서울 -6.7℃
  • 구름조금대전 -3.4℃
  • 맑음대구 -1.8℃
  • 맑음울산 -1.3℃
  • 광주 -2.8℃
  • 맑음부산 1.4℃
  • 구름많음고창 -4.0℃
  • 제주 1.4℃
  • 맑음강화 -7.4℃
  • 구름많음보은 -5.4℃
  • 구름많음금산 -3.3℃
  • 구름많음강진군 -1.4℃
  • 맑음경주시 -1.0℃
  • 맑음거제 1.2℃
기상청 제공

전남도, 왕우렁이 피해방지에 1억 4천만 원 긴급 투입

- 모내기 논 피해 발생 최소화 위해 유기농업자재 등 지원 -

 

 

 전라남도는 예비비 1억 4천만 원을 긴급 투입해 지난 겨울 따뜻한 기온과 잦은 비 등의 영향으로 월동 우렁이 피해가 발생한 친환경 벼 등 재배농가에 왕우렁이 방제를 위한 유기농업자재 등을 지원한다고 밝혔다.

지원 대상은 왕우렁이 피해 발생한 친환경 논과 일반 논 벼 재배 농가다. 사업량은 1천864ha로 총사업비는 4억 6천600만 원(도비 30%·시군비 70%)이다. 왕우렁이 피해 농가 중 친환경농가는 공시된 유기농업자재, 일반농가에는 일반 방제약제를 지원한다.

왕우렁이 농법은 대표적인 친환경농법 중의 하나다. 이앙 후 5일 또는 써레질 후 7일 이내 논 10a당 1.2kg 이내 왕우렁이를 투입하면 98% 논 잡초 제거 효과가 있다. 또 친환경 벼 재배농가의 노동력 및 경영비 등이 감소돼 소득증대에도 기여하고 있다.

전남도는 왕우렁이 활용도 중요하지만, 하천 등으로의 확산 방지 등을 위해 7월 한 달간을 ‘왕우렁이 일제수거 기간’으로 지정하고, 농경지와 용·배수로 주변의 우렁이알과 벼 생육초기 논 잡초제거에 사용된 왕우렁이를 집중 수거할 방침이다.

유덕규 전남도 친환경농업과장은 “신속한 복구·방제를 위해 예비비 긴급 지원을 비롯한 현장 지도 강화로 피해 최소화에 최선을 다하겠다”며 “장마철과 중간물떼기 시점을 감안, 논둑 및 배수로 그물망을 설치해 우렁이알과 우렁이 제거 등 농업인들도 적극적으로 참여해달라”고 당부했다.

 

(농업환경뉴스 = 김선옥 기자)


정책

더보기

생태/환경

더보기

건강/먹거리

더보기

기술/산업

더보기
스마트농업 기자재·설비 고장? 응급 자가 조치법 알면 편해요!
대부분 전력으로 가동하는 스마트농업 기자재 · 설비의 전기 안전사고를 예방하려면 정기 점검이 필수다. 갑자기 기기가 작동하지 않거나 고장 나는 응급 상황에 대비해 평소 자가 조치법을 익혀두면 요긴하게 쓸 수 있다. 농촌진흥청 (청장 권재한)은 스마트농업 기자재나 설비 고장, 전기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농가에서 기본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내용을 담아 ‘스마트농업 기자재 자가 수리 지침서’를 제작했다. 폭우·침수, 낙뢰와 같은 기상악화와 고온 · 과습, 단선, 노후화 등으로 구동기, 양액기, 제어 판넬, 관리용 컴퓨터 등 기자재와 설비가 작동하지 않을 때 상황별 조치법을 소개하고 있다. 구동기, 제어 판넬 고장이 의심된다면, 우선 전기 테스터를 활용해 기기에 전력이 전달되고 있는지 점검한다. 배전반의 주전원이 들어오면 휴즈 끊김 (단락) 여부를 점검하고, 손상됐다면 용량에 맞는 휴즈로 교체한다. 또한, 전원이 연결된 상태에서 마그네틱 스위치의 주황색 홀더를 눌러 전류가 통하는지 점검한 후 구동기 작동 여부를 확인한다. 양액기가 침수됐다면 깨끗한 물로 진흙을 제거하고, 양액기 모터 커버를 분리해 코일 내부를 모두 건조한 뒤 전원을 연결해 임시 구동한다. 이때 작동

포토뉴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