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 담수 유래 악취저감 미생물의 집락형태(좌) 및 전자현미경사진 (우)〉
◌ 분리된 세균의 집락은 노란색의 작은 원형이며,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간균형태로, 크기는 1.4 ~ 1.7 um
환경부 산하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관장 유호)은 축산악취를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는 신규 담수 미생물을 발견해 특허를 출원했으며, 축산 농가 등 현장에 적용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은 2022년부터 수행 중인 ‘담수미생물을 활용한 축산악취 저감 소재 개발’ 연구에서 축산폐수로부터 분리된 담수미생물이 축산환경에서 발생되는 악취 성분을 줄이는 효과를 확인했다.
〈그림. 총 악취활성값 변화량〉
◌ 다중이온 선택형 질량분석기(SIFT-MS)를 이용해 65개의 악취물질의 변화량을 측정한 결과 대조군 대비 89% 총 악취활성값이 줄어드는 것을 확인했다.
◌ 총 악취활성값: 악취활성값은 개별 악취물질의 농도를 해당 물질의 최소감지농도로 나눈 값을 의미하며, 총 악취활성값은 개별 악취물질의 악취활성값을 모두 합한 값을 의미한다.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연구진이 발견한 브레비박테리움 미생물은 인위적으로 조성한 축산악취를 89% 저감시키는 효과를 보였으며, 특히 축산악취 원인물질로 알려진 스타이렌 ( 자극성 냄새가 나는 무색 또는 황색을 띠는 기름성분의 액체물질 )을 28%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했다.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은 이 미생물이 향후 악취개선 소재로 활용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대량으로 배양할 수 있는 최적의 조건 등을 특허 출원했다.
연구진은 내년부터 축산 농가를 대상으로 현장 적용을 위한 사전 연구를 실시하고, 관련 기업과의 협력을 통해 악취방지시설에 이 미생물의 활용을 확대할 계획이다.
강태훈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이용기술개발실장은 “ 이번 담수 미생물을 이용한 악취저감 소재개발은 악취 문제 해결에 중요한 의미를 갖고 있다 ” 며, “이 미생물이 실효성 있는 악취 저감 소재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관련 후속 연구를 지속하겠다”고 밝혔다.
(농업환경뉴스 = 김선옥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