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크라이나 사태 장기화, 미국 ․ 브라질 등 주요 수출국 작황 불안 등 국제 곡물 시장 불안 요소가 지속되고 있다. 특히 이런 현상은 밀가루, 사료, 대두유 및 전분당 등 제품 가격 상승 요인이 많은 상황이라 이에 대한 대책 마련이 요구된다.
농림축산식품부가 5월 25일(수) 오후, 권재한 식품산업정책실장 주재로‘국제곡물 수급대책위원회’를 개최한 것도 이에 대한 대책 마련을 하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번 회의에서는 우크라이나 사태 장기화, 최근 인도 밀 수출 금지 등 국제곡물 시장 동향 및 국내 영향을 점검하고 대응 방안 등을 논의했다고 한다. 국내 관련 업계 ․ 협회, 제당업체 ‧곡물 공급상사,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및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관계자 등 10여 명이 참석한 것으로 알려졌다.
수급대책위원회에 참석한 업계 관계자들은 곡물 수급에 아직 큰 차질이 없는 상황이지만 국제곡물 시장 불안 요소가 지속되고 있어 국내 물가부담 등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대응방안이 필요하다고 진단했다.
최근 국제 곡물 시장 상황이 불안정하나, 업계에서 식용 밀은 10월 하순, 채유용 대두는 12월 중순, 사료용 옥수수는 10월 중순 사용물량까지 재고를 확보 (계약물량 포함)하고 있고, 주요 곡물 계약, 국내 도입 등 원료 수급에 아직까지 큰 차질은 없는 상황이라고 밝혔다.
최근 밀 수출을 금지한 인도 경우 전 세계 밀 수출 비중이 상대적으로 적고 (4% 수준 차지) 국내 밀 재고 보유 상황 등을 고려할 때 단기적 수급 영향은 크지 않다는 것이다.
하지만 수급대책위 업계 관계자들은 다만 국제곡물 가격 강세가 지속되면서 밀가루, 사료, 대두유 및 전분당 등 제품 가격 상승 요인이 많은 상황이라고 평가했다.
특히 이들은 인도의 설탕 수출물량 상한제와 관련, 국내 설탕 소비량은 1,292천 톤 (국내 생산: 1,184, 수입: 108) 중, 인도에서 수입하는 설탕물량 (5백 톤)은 수입 물량의 0.4%로서 국내 설탕 수급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으로 판단하지만 우크라이나 사태 장기화, 미국 ․ 브라질 등 주요 수출국 작황 불안 등 국제곡물 시장 불안요소가 지속되고 있어 국내 물가부담 등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대응방안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농식품부는 국제 곡물 시장 불안에 따른 국내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다양한 대책을 추진하고 있다. 그간 사료 ‧ 식품업체 원료 구매자금 금리 인하 (3월), 사료곡물 대체 원료 할당 물량 증량(4월) 등을 조치했다. 사료 ․ 식품업체 원료구매자금 (사료 647억 원, 식품 1,280억 원) 금리를 2.5~3.0%에서 2.0~2.5%로 0.5%p 인하(3월), 겉보리는 4만 톤에서 25만 톤으로, 소맥피는 3만 톤에서 6만 톤으로 할당물량 증량(4월) 했다.
또한 국내 소비자, 자영업자, 축산농가 등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이번 정부 추경안에 밀가루 가격안정 사업, 축산농가 특별사료구매자금, 식품외식 종합자금 확대를 위한 예산을 편성했다. 밀가루 가격안정 546억 원 (밀가루 가격 상승분 중 70% 정부 지원, 20% 업계 부담, 10% 소비자 부담), 축산농가 1.1조 원 규모 특별사료구매자금 (금리 1.8%) 한시 지원, 식품원료구매자금 지원규모 당초 1,280억 원에서 520억 원 추가 반영, 금리 0.5%p 추가 인하 등이 대표적이다.
관계 전문가들은 “정부의 이러한 단기 조치도 중요하지만 안정적인 식량공급 체계를 갖추기 위한 중장기 대책 마련도 병행할 필요가 있다 ”고 주장하고 있다.
농식품부는 이와 관련 “ 관련 부서가 참여하는 ‘중장기 식량안보 강화 전담반(TF)’및 ‘식량공급망 위기대응반’을 운영하여 중장기 대응 과제를 검토하고, 전문가, 관련 업계, 농업계와도 긴밀히 소통하면서 세부 과제를 구체화할 계획이다”고 밝혔다.
국내 밀·콩의 자급률 제고와 곡물 전용 비축시설을 신규로 설치하여 기초 식량의 비축물량을 확대하는 한편, 밀가루 대체를 위한 쌀가루 산업 육성과 해외 민간기업의 해외 곡물 유통망 확보 지원, 해외농업 진출 확대 등을 추진하겠다는 것이다.
농식품부 권재한 식품산업정책실장은 “앞으로도 업계와 긴밀히 협력하여 국제곡물 시장 동향을 점검하고, 관계부처와 협력하여 필요한 조치를 지속적으로 강구할 계획이다”고 밝히면서, “관련 업계도 비용 부담이 높아져 어려운 여건이겠지만, 주요 곡물의 안정적 수급과 국내 가격안정을 위해 노력해 주시기를 당부드린다”고 밝혔다.
(농업환경뉴스 = 윤준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