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3.19 (수)

  • 맑음동두천 7.2℃
  • 맑음강릉 7.1℃
  • 맑음서울 6.9℃
  • 구름조금대전 8.9℃
  • 맑음대구 9.5℃
  • 구름조금울산 8.2℃
  • 맑음광주 7.3℃
  • 맑음부산 8.3℃
  • 맑음고창 5.8℃
  • 맑음제주 8.9℃
  • 맑음강화 4.3℃
  • 맑음보은 6.7℃
  • 맑음금산 6.7℃
  • 맑음강진군 8.5℃
  • 맑음경주시 10.0℃
  • 맑음거제 8.6℃
기상청 제공

“KREI논문경진대회 최우수상에 강민성 씨 수상”

KREI-한국농업경제학회, 2022 대학원생 논문경진대회 개최

 

 한국농촌경제연구원(KREI, 원장 김홍상)은 7월 8일 (사)한국농업경제학회와 공동으로 대학원생 대상 논문경진대회를 개최했다.  이번 대학원부 논문경진대회에는 예비심사를 거친 논문의 발표와 본선심사를 통해 최우수상 1편, 우수상 2편, 탐구상 4편을 선정했다.

  

△최우수상의 영예를 안은 논문은 고려대 강민성 씨가 발표한 ‘Estimation of Market Power and Cost-efficiency Effects in the Korean Broiler Packing Industry’이다. 

 

△우수상은 고려대 정현주 씨가 발표한 ‘Examining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Innovation on Agricultural Export Growth’와 전남대 주종윤 씨가 발표한 ‘농업 특화작목 연구개발이 사회후생에 미치는 영향 분석: 설향을 중심으로’가 수상했다. 

 

△탐구상은 고려대 박진선 씨가 발표한 'How Does Environmental Spending Affect Food Waste?: A Dynamic Panel Approach', 고려대 엠마 칼보(Emma Calvo) 씨가 발표한 ‘Financial Performance of the ESG Strategy on the Japanese and Korean Food Industry’, 전남대 정준 씨가 발표한 ‘코로나-19 5차 재난지원금 정책이 식품 지출에 미친 영향 분석’, 강원대 홍성민 씨가 발표한 ‘VAR 모형을 이용한 양파 산지별 가격 인과성 분석’이 각각 수상했다. 이들에게는 각각 상장과 장학금이 수여되었다.

 

(농업환경뉴스 = 관리자 기자)


정책

더보기
농촌 지역 의료 사각지대 해소... ‘농촌 왕진버스’가 달려갑니다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은 3월 18일(화) 경기도 포천시를 찾아, 농촌 왕진버스 진료 현장을 둘러보고 의료진과 지역 주민들, 백영현 포천시장, 김용태 국회의원, 지준섭 농협 부회장 등 관계자와 농촌의 의료 여건 개선 등을 논의하는 자리를 가졌다. 농촌 왕진버스 사업은 농식품부가 작년부터 지자체와 농협이 함께 추진하는 사업이다. 도시에 비해 의료가 취약한 농촌 지역에 양·한방 진료, 치과, 검안 등 찾아가는 의료서비스를 제공해 오고 있다. 고령화 되어가는 농촌의 특성을 고려하여 올해부터 대상인원이 지난해보다 약 65% 증가한 15만 명을 지원하고 있다. 기존 서비스에 더하여 어르신들에게 필요한 골다공증, 치매검진, 근골격계 질환 관리를 추가하였으며, 거동이 어려운 분들을 대상으로 재택 방문진료도 시범 운영할 계획이다. 송미령 장관은 "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시간을 아끼지 않고 농촌 왕진버스 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포천우리병원, 보건의료통합봉사회, 열린의사회 등을 포함한 의료진 및 봉사자들의 노력과 헌신에 감사를 표한다"며, “농촌 어르신들과 주민들이 건강하고 행복한 삶의 누릴 수 있도록 정부와 지자체, 농협이 함께 노력해야 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또한,

생태/환경

더보기

건강/먹거리

더보기

기술/산업

더보기
선진, 철원 우수 목장의 날 성료…목장의 수익향상 솔루션 제시
스마트 축산식품 전문 기업 선진 (총괄사장 이범권)이 철원 한탄리버스파호텔에서 ‘우수 목장의 날’ 행사를 개최했다. 이번 행사에서는 2025년 목장의 생산성 향상을 위한 선진의 방향을 제시하고, 우수 농가의 운영 사례를 공유할 수 있는 자리로 마련됐다. 최근 국내 낙농업은 우유 소비량이 감소하고 수입 유제품의 공세가 거세지는 등 쉽지 않은 상황에 직면해 있다. 이러한 환경을 극복하기 위해 2025년 선진은 무엇보다 고객 농가의 수익성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고 보고 ‘유량 향상’에 방점을 찍었다. 올해 원유가격 산정체계가 개편되면서 유지방 최고구간의 인센티브가 완화되었다. 과거에는 유량과 유지방 성적을 동시에 잘 내야 했지만, 이제 유지방에 대한 부담이 덜어진 만큼 유량 성적에 대한 집중이 중요하다는 것이다. 선진은 유량 향상을 위한 방법으로 ▲유량 증대와 개체 강건성을 동시에 고려하는 급이 관리의 최적화 ▲소의 분만 후 초기 관리 강화 ▲ICT 장비를 활용한 개체별 유량 · 건강관리 ▲적절한 온습도 조절을 통한 소의 스트레스 관리를 제시했다. 또한 생산비를 절감해야 농가의 수익성을 극대화 할 수 있기 때문에, 사양관리 컨설팅 등 선진의 ‘토탈 솔루션’도 적극

포토뉴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