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2.09 (일)

  • 맑음동두천 -1.0℃
  • 맑음강릉 2.1℃
  • 맑음서울 -0.3℃
  • 구름많음대전 0.6℃
  • 맑음대구 2.2℃
  • 맑음울산 2.7℃
  • 구름조금광주 0.6℃
  • 맑음부산 3.9℃
  • 흐림고창 -1.1℃
  • 비 또는 눈제주 3.4℃
  • 구름조금강화 -2.0℃
  • 구름조금보은 -1.2℃
  • 구름많음금산 -1.2℃
  • 구름많음강진군 1.9℃
  • 맑음경주시 2.9℃
  • 맑음거제 2.1℃
기상청 제공

지자체/통일농업

도, 학교급식용 친환경 감자 전수조사. 안전성 검사체계 개선키로

○ 창고보관 중인 수매농산물 감자 전체조사 실시… 추후 검출 시 전량 폐기 예정
○ 안전성검사 체계 개선, 기존 수확 전 안전성검사에 더해 각 단계별 검사 확대

 

창고에 보관 중인 학교 급식용 친환경농산물(감자) 일부에서 잔류농약이 검출되자 경기도가 나머지 감자에 대한 전수조사를 실시해 안전성 여부를 확인하는 한편 10월 중 학교에 납품한 친환경 감자에 대해서는 전량 사용중지 결정을 내리는 등 긴급 조치에 나섰다.

 

경기도는 27일 염태영 경기도 경제부지사 주재로 대책회의를 열고 이런 내용을 담은 후속 대책을 진행하기로 했다.

 

먼저, 도는 현재 4개 창고에 나눠 보관 중인 친환경급식용 감자 1,132톤에 대해 전수조사를 실시하고 부적합 판정을 받은 감자는 전량 폐기하기로 했다. 경기도와 경기도농수산진흥원은 감자 1,132톤에서 시료를 채취해 11월 초까지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에 안전성 검사를 의뢰할 방침이다.

 

도는 또 27일 경기도교육청에 공문을 보내 잔류농약 검출 사실을 설명하고 10월 중 공급받은 감자에 대한 사용 중지 협조를 요청했다. 도는 혹시라도 학교에 사용하다 남은 감자가 있을 경우 즉시 회수해 전량 폐기할 방침이다. 경기도교육청이 발표한 자체 검사 추진안에 대해서는 적극 협력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앞서 지난 6월 10일부터 17일까지 도내 305개 감자 생산 농가에서 생산된 감자 2천 톤에 대해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으로부터 인증받은 공인 검사기관인 KOTITI 시험연구원이 전수검사를 실시해 전량 적합 판정을 받았다. 경기도농수산진흥원은 생산단계에서 적합 판정이 이뤄진 후 농산물의 저장, 보관단계에서 잔류농약이 이염됐을 가능성까지 포함해 원인을 파악 중이다. 경기도는 잔류농약 유입 경로에 대한 명확한 원인을 철저히 조사한 뒤 책임을 물을 계획이다.

 

장기 대책으로 재발 방지를 위해 수매농산물에 대한 안전성 검사 체계도 개선한다.

 

도는 수매 전 밭 상태에서 시료를 채취해 의뢰하던 기존 사전 안전성 검사 방식에 수매 운반 용기, 이동 차량, 저장창고 등 각 단계별로 안전성 검사를 추가 실시해 최대한 안전을 확보할 방침이다.

 

염태영 경제부지사는 “전수검사 결과가 나오는 대로 즉시 공개하고, 잔류농약의 유입 경로에 대한 결과도 도민에게 투명하게 발표하겠다”며 “재발 방지대책도 차질없이 진행해 안전한 학교급식용 농산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농업환경뉴스 = 김선옥 기자)


정책

더보기
8만㏊ 감축 목표, 자율적 ‘벼 재배면적 조정제’ 추진
쌀 공급과잉 해소를 통한 쌀값 안정과 농가 소득 향상을 위해 올해 8만㏊ 감축을 목표로 ‘ 벼 재배면적 조정제 ’가 추진된다. 지자제 중심의 자율적 벼 재배면적 조정제 추진하던 것이 지자체 중심 없이 자발적 추진된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앞서 지난해 12월 「쌀 산업 구조개혁 대책」을 마련하면서 ‘ 벼 재배면적 조정제’ 추진계획을 발표 했으며, 제도 첫 시행에 따른 현장 혼선을 최소화하기 위해 그동안 세부 전략을 보다 구체적으로 보완했다. 먼저 시도‧시군구는 지역여건을 고려하여 친환경인증 전환, 전략작물 재배 등 5가지 유형별 세부 감축 계획을 2월까지 수립하고 지역농협‧생산자 단체와 협력을 통해 성실히 감축을 이행한다. 벼에서 타작물 재배로 전환하는 농가를 지원하기 위해 전략작물‧친환경 직불금 지원을 확대한다. 논에 타작물을 재배하기 위한 배수개선(’25년 신규 10지구), 논 범용화 등 타작물 생산 기반 지원도 확대한다. 콩‧가루쌀 수매 비축, 식품기업과 연계한 전략작물의 제품개발 · 판촉 등 유통 ‧ 소비 기반도 지원한다. 또한 지자체를 통해 자율적으로 타작물 전환, 자율감축 등을 적극 발굴하여 벼 재배면적 조정을 유도해 나갈 계획이다. 이에 성과가 우수한

생태/환경

더보기

건강/먹거리

더보기

기술/산업

더보기

포토뉴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