꼬마배나무이 월동성충(거친 껍질 아래) |
|
단과지(짧은 결과지)에 이동한 꼬마배나무이 월동성충 |
단과지에 산란된 꼬마배나무이 알 |
단과지에 이동한 꼬마배나무이 월동성충(좌)과 산란된 알(우) |
|
단과지에 산란된 꼬마배나무이 알 |
기계유유제 살포 직전(좌)과 살포직후(우) |
농촌진흥청(청장 허태웅)은 올해 배 과수원의 꼬마배나무이 해충 발생이 예측치보다 10일 이상 빨라짐에 따라 철저한 방제를 당부했다.
꼬마배나무이는 배나무 가지와 잎의 즙을 빨아 나무 세력을 떨어뜨리고 그을음을 유발하는 중점 관리대상 해충으로, 저온에 강해 겨울철 성충(어른벌레) 생존율이 높은 편이다.
농촌진흥청이 2월 5일~7일까지 전남 나주 지역 5곳을 조사한 결과, 38~63%(평균 52%)의 꼬마배나무이 성충(어른벌레)이 알을 낳기 위해 거친 껍질 아래에서 나뭇가지 위로 이동한 것으로 나타났다.
꼬마배나무이 방제는 성충 이동이 80% 이상일 무렵, 기상자료를 기준으로 2월 1일부터 최고온도가 6도(℃) 이상 되는 날이 16~21일 정도 됐을 때 하는 것이 좋은데(2월 말쯤), 올해는 빠른 이동으로 방제시기를 10일 이상 앞당겨야 할 것으로 분석된다.
방제는 꼬마배나무이 성충을 대상으로 알을 낳기 전 실시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기계유유제(약제)를 25배로 희석해 뿌리면 꼬마배나무이가 가지에 부착된 상태로 죽고 성충이 알 낳는 것을 꺼리게 하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
해마다 꼬마배나무이 피해가 반복되는 농가에서는 ‘고압 박피기’로 미리 거친 껍질을 벗긴 뒤 기계유유제로 방제한다.
이렇게 하면 벌레에 약제가 잘 달라붙어 꼬마배나무이뿐 아니라, 복숭아순나방과 깍지벌레류도 함께 방제할 수 있다.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강삼석 배연구소장은 “지난해 저온 피해로 열매맺음 양이 적은 농가의 경우, 후반기 약제 방제가 소홀해 올겨울 꼬마배나무이 밀도가 높은 상황이다.”며, “꼬마배나무이 밀도가 높으면 수확기까지 방제 노력이 많이 투입되는 만큼 피해가 큰 농가는 미리 껍질 벗기는 작업을 서둘러 방제 효과를 높이도록 해야 한다.”고 전했다.
(농업환경뉴스 = 윤준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