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은 “ 농업 · 농촌이 열린 기회의 공간이라는 관점에서 한국형 소득 · 경영안전망 구축, 농업의 미래 성장산업화 추진, 소멸 대응 농촌 공간계획 수립 등 핵심 과제를 중심으로 적극적 · 공세적으로 정책 방향을 대전환하고자 한다”고 밝혔다. <첨부파일 참조>
송미령 장관은 2일 취임식에서 “ 공급망 불안, 농촌인구 감소와 고령화 같은 위기를 거치면서 농업 · 농촌이 처한 구조적 문제에 대처하기 위해 어떠한 정책을 추진해야 하는지에 대한 생각도 정립하게 됐다 ” 며 “ 농업을 첨단기술과 융합하여 혁신하고 전후방산업을 육성하여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하면서, 농촌 공간이 가진 자원과 강점으로 사회 · 경제적 활동을 촉발시킨다면 농업 · 농촌은 새로운 전기를 맞을 수 있을 것이다”고 말했다.
이를 위해 송 장관은 “ 농업인은 걱정 없이 농업에 전념하고 국민은 먹거리 걱정 없는 든든한 농정으로 전환하며, 농업혁신과 전후방산업 육성을 통해 사람 · 자본 · 기술이 선순환되는 미래성장산업으로 전환하겠다 “ 언급했다. ” 농촌을 국민들이 살고, 일하고, 쉴 수 있는 가치 있는 공간으로 전환하겠다“ 는 것이다.
이와 함께 송미령 장관은 ” 농정 현안에 대한 해결책을 찾거나 중요한 정책을 결정함에 있어 자율 · 창의 · 배려를 기초로 농업인 · 현장 중심 등 정책 과정에 스며들 수 있도록 조직을 운영하겠다“고 언급했다.
이를 위해 시대에 맞지 않는 정책은 과감히 재편하여 농업인 · 관련 단체 · 외부기관 등 현장의 참여를 기반으로 농정 추진, 성과 중심의 혁신적 정책 추진, 책임성 있는 정책, 융합적 사고에 기반한 정책 추진 등을 강조하면서 ” 현안 중심의 소극적·수세적 대응이 아닌, 보다 적극적·공세적 자세로 정책을 추진하고, 기존 영역에 안주하지 않고 더 큰 세계를 대상으로 정책을 추진하면서 더 많은 기회를 만들어 내겠다“ 덧 붙였다.
(농업환경뉴스 = 윤준희 기자)